반응형

구글이 보고싶은 언론사들을 편하게 필터링이 가능하다고 해서 사용해봤습니다. 


사실 보고싶은 뉴스만 보고 사는것도 좋은..바람직한 행동은 아닌것 같지만

특히나 이상한 가짜뉴스 등을 주로 쓰면서 아님말고 식의 기사를 쓰는 나쁜 언론사 뉴스는 

다시 꼴도보기 싫은 경우가 종종있습니다. 


여러 포털이있지만, 

그 중에서 구글이 깔끔하게 필터링이 되는것 같아서, 저는 개인적으로 뉴스는 주로 이곳에서 보게 됩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하지만 초반엔 노가다가 필요함..)


1. 구글 로그인 후 구글 뉴스에 접속


https://news.google.com/topstories?hl=ko&gl=KR&ceid=KR:ko


2. 필터링 하고싶은 언로사의 기사위에 마우스 커서를 올리면 점세개가 나옵니다.

클릭해서 기사 숨기기를 누르면 다음부터는 해당 언론사의 기사는 보이지 않습니다. 


아래는 하나의 예시입니다..^^; 



하지만, 계열사들은 숨겨지지 않기 때문에 모두 찾아서 기사 숨기기를 해야됩니다..




혹은, 원하는 뉴스 팔로잉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뉴스 검색창에 원하는 언론사를 검색후 팔로우 버튼 누르기.


이것도 하나의 예시입니다..^^; 


참고로 구글 뉴스 앱도 있는데 설정한 내용은 그대로 유지가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집 구입!! 이미 다 날라가고 산 기분도 들지만.

그래도 실거주 한개는 진리라기에...


주식은 구입했다고하면 아무말도 안하는데 집은 구입했다고하면 하나같이 축하한다고 말해준다. 

그만큼 한국인에게 실거주 한채는 많은 사람의 열망이 아닐까 싶다. 

뭐 요샌 전세도 공개입찰 한다는 말도안되는 상황이 실제로 일어나고 있으니.. 


집은 고민을 안해야 지를수있다는데, (+ 각자마다 자신의 집이 있다는데)

얼떨결에 잔금까지 치르고 등기까지 하게되었다. 많이 고민하면 못산다고 하는데 정말 맞는거같다 돌아보니. 


지금 시점의 핵심은, 임대차 3법으로 

실거주 매매는 아주 힘들고 (aka 아주 비싸고) 갭투자 급매 물건이 아주 가끔 나오는 타이밍이다. 

대략 가격은 어지간한 지역에서 실거주와 갭투 물건 사이에 몇 천정도는 차이나니. ( 참 뭐 같다 )


미친듯이 돌아다니며 집도 많이 봤는데, 계약금 쏜다고하면 하나같이 매매를 보류하는 집주인들이 많았다. (서울, 경기)

그만큼 지금 불붙은 상황이었고. 한텀 놓쳐야 되나 싶었는데, 다행스럽게도 상황에 딱 맞는 물건이 나왔다. 


먼저 나는 전세 만기가 1년 가까이 남은 상황이었고, 

때마침 만기가 비슷한 물건이 급매로 나와서 그날 밤에 가계약금을 쏘고 계약을 진행했다. 

지금은 임대차 3법으로 등기 기준으로 6개월 넘게 남은 집만 내가 실거주 협의가 가능하니 반드시 확인해야 된다. 



계약일


준비물 : 도장, 신분증, 이체준비


처음이어서 뭘 준비해야되나 찾아봤는데. 대부분 별 생각없이 진행하는걸로 보였다..^^;

그래도 가장 중요한건 등기부등본. 대부분 부동산에서 미리 등본 출력해두신다. 

등본에서 매수자 이름, 본적 등을 꼼꼼히 확인하고, 대출 여부 확인, 아파트 동 호수 제대로 된건지 확인을 반드시 해야된다. 

통상 집가격의 10%가 계약금이고, 가계약금을 뺀 나머지를 서류 확인 후 입금해주면 된다. 

복비도 지금 이야기하자. 물론 잔금일에 이야기해도 조금 빼주시지만. 확실한게 좋다면!


그 이후, 


자금조달계획서


(이게 아주 그지 같았다.)

그래도 다행인건 증빙서류 대부분 집에서 출력이 가능했다. 

부채증명서의 경우 평일 저녁 8시까지만 출력이 되었다. (은행마다 다르겠지만 비슷할 듯)


기재 항목

 증빙 자료

 자기자금

 금융기관 예금액

 예금 잔액 증명서

 주식, 채권 매각대금

 주식거래내역서, 잔고증명서

 증여, 상속

 증여-상속세 신고서, 납세증명서

 현금 등 그 밖의 자금

 소득금액 증명원, 

 부동산 처분 대금

 부동산 매매계약서, 임대차계약서

 차입금

 금융기관 대출액 합계

 금융거래 확인서, 부채증명서, 대출신청서 등

 임대 보증금

 부동산임대차계약서

 회사지원금, 사채, 기타 차입금

 차용을 증빙할 수 있는 서류


* 갭 투자 물건은 세입자 임대보증금을 제외한 나머지 돈에 대해서만 자금조달 계획서를 작성하면 된다. 

  즉, 추후에 주담대로 돈 갚고 들어갈거에요. 이런거 필요없음. 

* 부모님께 차용을 하는경우 차용서를 증빙자료로 첨부하고 관련된 이자를 납부한 증거가 남도록 해야된다. 특수관계인 법정이자는 4.6% !!

  그리고 이자가 일정 액수를 넘어가면 부모님이 세금을 납부해야되는.. 불상사가 생길수 있으니 그 점도 감안해야 한다.

  2억 조금 넘는 선이라고 알고있다. 

* 성인의 경우 10년간 5천만원까지 증여세를 내지않는다고한다. 그래도 신고를 진행하고 증빙자료 첨부하는게 맞는 방향. 

* 이건 "계획서" 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조금 달라져도 괜찮다고 한다. 나중에 소명이 필요하면 하면 되고. 

* 가능한 현금은 안하는게 맞아보인다. 누구라도 의심할듯. 

* 개인적으로는 전세 -> 반전세로 변경하면서 자금을 마련했어서 지금 살고있는 집의 임대차 계약서도 함께 증빙하였다. 

* 신용대출은 따로 적을수 있게 칸이 있다. 누구는 쓰지말라고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은행에서 입증해주는게 가장 확실한 증빙이 아닐까 싶어서 

  솔직하게 썻다. 물론 1억 미만으로. 갭투를 신용대출 없이 하는것도 엄청난 능력일듯한데. 그럴 사람이 있을까싶다. 

* 예금 잔액 증명서는 계약금 쏘기 직전날로 뽑아서 냈다. 


잔금일


준비물 


1. 주민등록등본 (주소 같으면 1통, 다르면 2통) - 세대원 포함, 주민등록번호 모두 공개

2. 가족관계증명서 (총 2통) 본인기준 , 주민등록번호 모두 공개

3. 도장 

4. 매매계약서원본

5. 신분증

6. 이체준비 (한도를 확인하자 반드시. 은행 뛰어가기 싫으면..^^) , 현금 (복비 등)


역시나 등기부는 다시 확인해야된다. 그 사이에 무슨일이 일어났을수도 있기 때문!


취득세


대부분은 카드로 가능하다. 법무사를 통해서 하는 경우 카드로 제출한다고 이야기하면 그에 맞춰 전자납부번호를 보내주신다.

그 번호를 가지고 위텍스(wetax) 에 들어가 번호를 쓰고 카드로 지불하면 된다. 앱으로도 가능하다고 하는데, 나는 컴퓨터로 접속해서 빠르게 끝내버렸다. wetax 들어가보면 어떤 카드사가 무이자 이벤트를 하는지도 알 수 있다. 이때 취득세는 카드로 가능한데 그 외의 부대 비용은 불가능하니 미리 여분의 현금을 준비해놓는게 좋다. (법무사비도 제법 비싸다...^^;) 카드사마다 특별히 한도를 열어주는 경우도 있다는데 지나치게 큰 경우 막히는 경우도 있다고하니 반드시 미리 전화해서 확인해놓아야 한다. 2주택자부터 취득세가 엄청 비싸지는데, 유주택자 부모님의 세대원으로 있다가 집을 구입하는 실수?를 하는경우도 있다고하니 등본은 반드시 먼저 확인해야된다. 

생애최초의 경우 취득세가 싼 경우도 있지만, 조건이 아주 까다롭다. 혹시 모르니 미리 확인해 보고 준비하면 좋다. (대부분 상관은 없을거같다..요새 집이 너무비싸서리) 


나중에~


등기

대략 일주일 후에 날라온단다. 부동산으로 날라오게 해놓고 직접 가질러 갈 계획! 


반응형
반응형

돌아보면 결혼 준비할때는 정말 돈 아끼고 싶었던 마음이 컸어서..(부동산 문제가 컸다..지금 더 커졌지만)

1년전 가졌던 마음과 지금 돌아봤을때 후회하는 것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여러분들의 현명한 선택을 위해서....

일단 기본 마인드는 아낄건 아끼자. 쓸건 쓰자 가 좋습니다^^


TV

신혼집이면 작은 평수로 시작할 확률이 높고 해서 큰 TV가 부담이실수 있지만

TV는 10년 이상 쓸 확률이 높고, 요새 TV는 인터넷 접속이나 app사용에 아주 최적화가 잘 되어있기 때문에 당분간 새로운 플렛폼이 생겨날거 같지않습니다. 그러니 가능하면 좋은걸로 사이즈는 65 이상으로 보는걸 추천합니다. 개인적으로 LED냐 LCD냐는 사실 구분하기 힘들거같다. 

콘솔게임을 하신다면 그에맞는 화질을 꼭 사십시오!


청소기

저는 S 무선 청소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물걸레 키트는 잘 안쓰게됩니다. 뭔가 돌면서 걸레질을 하는거 같지만 시원찮지않습니다. 

그냥 밀대 하나 구해서 슥슥 밀고다니는중..^^;

흡입력이 좋긴하지만 이상하게 해드부분에 먼지등이 묻어있는게 나중에 다시 바닥에 나오게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D가 이상하게 모터 파워 이상으로 무언가... 청소가 더 잘되는 느낌이 분명히 있습니다. 

충전 키트에 깔끔하게 여러가지 꽂아놓을수 있는게 좋습니다.

만약 다음에 산다면 D를 살거같습니다. 그리고 집이 넓다면 로봇청소기..............


에어드레서

만약 정장을 입는 업종에 종사하신다면 사용해도 좋을것같습니다.

한가지 좋았던점은 회식후 고기냄새 빼는건 최고라는것..

아무래도 저는 회사에 옷을 대충입고가다보니... 사용빈도가 떨어집니다. 

겨울에 패딩은 한번씩 돌려줬습니다. 가격대가 제법 나가니 판단해서 사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침대

직구로 좋은 메트리스를 싸게 잘 샀습니다. 사이즈가 이스턴킹? 이어서 침구류가 조금 비쌌던거 말고는 아주 만족한다.

가능하면 큰 침대로 넓게 사는걸 추천한다. 그리고 가능하면 여러 침대를 많이 누워보시고 결정하세요. 

인테리어 용으로 침대 헤드를 구입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사실 보여줄일도 없고해서 저는 안샀습니다. 앞으로도 안살거같습니다. 


건조기

그냥 사십시오. 가능한 큰걸로. (이불이 돌아가는 크기)


식기세척기

이전에 봉사활동갈때 식기세척기를 쓰려면 거의 설겆이를 하고 사용했던 기억이 있었어서 별로라 생각했는데

요즘 식기세척기는 정말 좋더군요. 가능하면 큰 사이즈로 구입하면 좋습니다. (전세집이면 위치 고민을 좀 해야되지만..)


옷장

장을 꼭 짤 필요가 있을까 싶습니다. 요샌 조립식으로 간단히 행거들을 만들수있는게 많은데

그걸로 충분해보입니다. 제가 장을 짰어서...하는말은 아닙니다. 




반응형
반응형


(출처: apple 공식 홈페이지)


iPhone 12, mini, pro, pro max를 발표했는데 실망했다는 분들도 많았지만 (충전기, 이어폰 없애고 환경보호??????)

저는 그래도 드디어 5G를 iPhone에서도 사용가능하다는게 크다고봅니다. 

그 덕분에 대다수의 많은 apple 유저들이 기기를 변경할걸로 예상하고있습니다. 


기본사항

 

12 mini

12

12 pro

12 pro max

디스플레이 5.4 OLED 6.1 OLED 6.1 OLED 6.7 OLED
픽셀 2340x1080 2532x1170 2532x1170 2778x1284
해상도 476ppi 460ppi 458 ppi
방수 및 방진

최대 6m, 최대 30분

무게 133g 162g 186g 226g
Ram

4GB

6GB

A14 Bionic


가장 큰 자이점은 Ram 이라고 봅니다.

물론 Apple의 경우 나름 최적화가 잘 되었다고 보고있어서.. 4GB여도 충분하다 보지만...^^; Pro의 강점은 ram이라고 볼 수 있지요

무게의 경우 Pro 라인은 스테인레스 스틸, 나머지 두개는 알루미늄이어서 나오는 거라고 봅니다. 


카메라 스펙

 

12 mini

12

12 pro

12 pro max

울트라와이드카메라 f/2.4 13mm f/2.4 13mm f/2.4 13mm f/2.4 13mm
와이드카메라(1.4um) f/1.6 26mm f/1.6 26mm f/1.6 26mm
와이드카메라(1.7um) f/1.6 26mm
망원카메라(4배줌) f/2.0 52mm
망원카메라(5배줌) f/2.2 65mm
OIS 와이드 와이드 와이드, 망원 망원
센서 시프트 OIS 와이드
라이다 스캐너 v v
Apple ProRAW v v


Pro 라인의 경우 Raw 파일을 편집 가능하다는게 큰 점이라고 봅니다. 어떤 앱을 이용해서 이용할지는 자세히 알 수는 없지만

DSLR의 강점중 하나가 raw 파일을 가지고 편집을 한다는 것입니다. Raw의 경우 손실되는 데이터가 거의 없기에 가장 많은 색상 정보를 갖고있다고 보시면됩니다. 

그리고 LiDAR 기술이 야간에 초점을 얼마나 빠르게 해줄지, 야간 사진에 어떻게 도움을 줄지 등등은 확인이 필요해보입니다. 좋다면 Pro 카메라에 강점이 아주 크다고봅니다. 


베터리

12랑 12 pro는 동일하네요. 

브라질의 통신사에서 이야기한 베터리 크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mini : 2227mAh 12 : 2815mAh 

mini의 경우 베터리가 조금 아쉽기는 하군요. 


 

12 mini

12

12 pro

12 pro max

동영상 재생 15시간 17시간 17시간 20시간
스트리밍 재생 10시간 11시간 11시간 12시간
오디오 재생 50시간 65시간 65시간 80시간



가격

역시 애플 처럼 애매하게 만들어놓았습니다. 12를 사기엔 19더하면 프로가 가능해서..^^;


 

12 mini

12

12 pro

12 pro max

64G 95 109    
128G 102 116 135 149
256G 116 130 149 163
512G     176 190


제 생각에는 가볍게 들고다닐분들은 mini가 좋을것 같고

카메라기능을 잘 쓰고싶다면 pro 라인을 눈여겨봐야될거같습니다. 

그리고 1차출시국이어서.. 해외직구를 꼭 해야될까 싶기도 하네요..^^



반응형
반응형

메리츠증권의 보고서와 tesla 홈페이지, 저의 생각등을 정리한 요약본입니다. 

(메리츠 증권 보고서 위치 : https://home.imeritz.com/fact/FactIndsAnlsIdp.do)


2020년을 가장 뜨겁게 달군 주식은 단연 tesla다. 하지만 필자는 지나치게 보수적인 입장으로 시장을 바라봐서 이 주식을 통해서 어떠한 이익도 보지못해서 아쉬움이 아주아주 많이 남았지만, 이왕이면 어떠한 사업모델을 갖고 어떠한 비전을 목표로 이 회사가 운영되는지 확인하고 주식을 투자하는게 맞을것 같아서 이렇게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기로 했다. 사실 방향은 있었으나 돈 못버는 모델이었어서 시장의 외면을 받았을것이나, 돈을 벌게 된 순간 말그대로 떡상하게 된것이다. 돈 벌면 꿈을 이루기 위한 투자도 가능할것이니. 


Tesla의 방향은 기존의 단순한 자동차 공장을 넘어서서 data를 이용한 사업모델을 구상하고 실현하는 중이다. 이를 위해 강조하는 것이 바로 기술고도화이다. 기술고도화를 통해 낮은 원가에 높은 에너지 효율을 가진 디바이스 구축. 이를 통해 데이터를 통해서 데이터 비즈니스를 하려고 함. 기존과 다른 너무나 큰 시장을 열었음. 이 데이터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완벽하게 잘 처리가 된다면 자율주행, 남들이 꺼리는 자율주행관련 보험업, 자율주행 하는 동안 영화 보여주기 등등 이런걸 할까? 


커다란 틀은 다음과 같은걸로 보인다. 

 

에너지 – utility - 베터리 전기차 – Architecture – Deep learning – 자율주행 보험, streaming service 등등


에너지 – solar city 통해서 ESS 파는중자동차가 양방향임. (자동차 전력으로 티비보는 것 가능)

서로 전력을 거래하는 방식? Autobidder. 지금 사모아 전체 전력을 공급중영국에도 전력공급 사업자 등록.


Utility - 슈퍼 차져, 태양열 등등 각종 인프라를 설치하면서 동시에 친환경적이기까지함. 만약 바이든이 정권을 잡게되면 더 인기가 생길걸로 보인다. 

 

(출처: Tesla 홈페이지)

한국에서는 사용하기 힘든 모델이 아닐까 싶다. 차고가 있고 해야지 아무래도... 그럼에도 친환경은 매력적이다 당연히. 



전기차 이 회사를 이해하기위해서 가장 중요한 컨샙은 바로 tesla는 가전제품으로 전기차를 생각한다는 것이다. 애플이 저가형 핸드폰도 개발한것이 바로 애플 phone 사용자를 늘려서 많은 data를 갖게되면서 동시에 service 비용을 벌기 위함이었다. Tesla도 마찬가지 개념을 갖고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기존 자동차보다 전기차의 에너지 효율성은 앞도적으로 뛰어나다. 전기차의 경우 현제 73% / 수소차 22%/ 내연차 13% (에너지가 바퀴로 가는 효율)

이를 더 늘리기 위해 노력하는 중이다. 뒤에 말하겠지만 효율성을 위해 Lidar를 사용하지 않고 저전력 chip을 만들고 있고, 나아가서는 자율주행도 자동차에서 직접 연산하지 않는 세상을 꿈꾸고 있다. 

 

(Model S 갖고싶다. 출처: Tesla 홈페이지)



베터리 – 2019년 말 telsa 특허 617건 중 437건이 베터리 관련 디바이스 측면에서 완성성을 높이기 위함.

그도 그럴것이 베터리가 tesla의 거의 모든 제품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팔콘, 스타링크(인공위성), ESS 비즈니스도 베터리가 필요.

베터리 제조공정관련 기술은 거의 마무리. -> 내재화하면 원가비용 20% 가능!

심지어는 광산업체 계약하고 나사와도 계약했다.소행성 광물 채굴을 위해서. 


Deep Learning, Autopilot – Lidar는 저전력 고효율과는 거리가 멈. 그래서 과감히 Lidar를 빼고 자율주행을 하려고 진행하는 중. 한마디로 테슬라는 보다 머리를 더 중시. Tesla가 구축하고자 하는 시스템은 김준성 연구위원님이 아주 쉽게 설명을 잘 해주셨다. 바로 테슬라 전기차(아들) neural network(엄마). 라는 개념인데. 아들이 운전하면서 sensor를 통해 얻은 data를 엄마한테 정기적으로 wifi 존에서 자동으로 보내게 되는데 연산 후 다시 아들에게 보냄. 일주일 단위? 이렇게 계속 학습을 하게 되면서 점점 사고율이 낮아지고 있다. 이것과 보험업의 시너지는 상당할것으로 보인다. 


autopilot 에 사용하는 센서들은 카메라, 초음파센서, radar 이며 이것을 빠르게 연산하기 위한건 바로 FSD (Full Self Driving Capability)이다. 아래는 tesla homepage에서 가져온 내용이다. 2016년부터 자율주행을 위한 시스템을 정해버린것 자체가 엄청난 선견지명으로 보인다. 

 All Tesla vehicles built since October 2016 include eight external cameras that feed our Tesla-developed neural net, 12 ultrasonic sensors for detecting nearby obstacles, a forward-facing radar that senses through fog, dust, rain, snow, and under cars, and a powerful onboard computer that process these inputs in a matter of milliseconds.

 - https://www.tesla.com/presskit


컴퓨터 – 저전력고속 연산 구현이 핵심자체 개발 chip ’FSD’ 상용화. 단순 연산에너지 효울성으로는 엔비디아보다 압도화.

사실 다른거는 물음표지만 자율주행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이 연산에너지 효율성이라 보고 이것을 집중적으로 발전시킴. 자신들이 사용하기 위한영역에 필요한것들만 집중적으로 개발하는 것이다. 앞에서 강조한 기술고도화!

FSD2 -> TSMC의 7nm로 감. 2021년 4Q로 예정되어 있고 저전력 고효율을 목표로 진행중이고. 기존엔 2D  data인 사진, 동영상처리만 가능했다면 추후엔 시간 정보(4d) 처리 예정.

 

Architecture – 차량내 network를 빠르게 하기 위함. (엄마가 보내는걸 잘 처리해야되니.)

Space X와 같이 발전하게 될 영역이다. 지금은 4G~5G 정도 수준. 2030년 전후 전세계 고성능 통신 가능할거라고 보고 있고. 나중에는 아들이 운전할 필요 없이 엄마가 운전하고 차 안에 컴퓨터가 필요없어 지게되는게 최종 목표가 아닐까 싶다. 가능해진다면 당연 원가절감도 가능한것이다. 


반응형
반응형

하얀 화면은 눈이 피곤하지요?

맞습니다. 장기간 인터넷 서핑을 하면 눈이 피로해지고.. 눈건강에 안좋은 영향을 주지요. 

특히 장기간 모니터를 봐야되는 개발자들도 많이 dark mode를 이용해서 작업을 하곤 합니다.


크롬에서 dark mode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따로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해줘야됩니다.

복잡하지는 않으니 차근차근 따라오세요!


먼저 설정으로 들어오셔서 조금 내리다보면 아래처럼 모양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여기서 테마 chrome 웹 스토어 열기 를 눌러주세요. 




Dark reader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할 것입니다. 

저는 이미 설치되어서 여러분들과 조금 다르겠지만

Chrome에 추가 버튼을 눌러주시고  확장프로그램에 추가해주세요. 





설치를 하시고나서는 Alt + Shift + D를 누르면 간단하게 dark mode를 키고 끄고 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