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llo! I would like to explain the korean cultural thing hidden in the squid game. I believe it makes the squid game more fun! I will continue to update.
9/30 - #1
1. Piggy-bank
You must have seen the scene where the prize money was put in to the pig-shaped barrel.
In the old days, many people used to put their money into a piggy bank.
I remember this red piggy-bank. I used it 30 years ago. 😊
It made of plastic or ceramics.
There are many cute looking piggy banks these days.
I’m now using this cute piggy-bank. But the number of coins does not increase well.
In the old days, I used a lot of cash, so I had a lot of changes as well. However, because of the fintech, many people do not need to bring cash. It means do not make change. So many companies that made piggy banks went bankrupt. (It’s a sad story)
2. Future, Gift ??
As you already watch the Squid game, Lee Jung-jae as Seong Gi-hun (from Ssangmun-dong 😊) is a gambling addict who works as a chauffeur and lives with his elderly mother. The drama portrays him as an uneducated person and person who lost job as well.
In Korea, Future (from finance) and gift has the same pronunciation. Because of that he could not understand why the gift makes him beggar. So, he said “How much gift did you buy?”
3. No.067
That’s the sad part cause many people could not feel the inton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As you may know, Korea is a divided country because of the Korean war. Because it has been divided for a very very long time, not only the ideology but also the culture is different.
Also there are huge differences between the South Koreans and the North Koreans like the accent and the words. For example, North Koreans do not use English and try to translate to Korean language.
So foreigners will have a hard time recognizing this. It’s a bit disappointing because it’s a part where you can feel more fun than it is expressed through subtitles. I think it’s more different in English accent between the UK and the US.
4. The roses of Sharon have blossomed. - AKA red light, green light?
The game and the rules we played in childhood are the same. If the player moves when tagger looks back, he is eliminated. Of course! we don't kill loosers...
They got tagger doll from the Jincheon Macha Town.
백화점 상품권 이벤트를 해서 정말 몇달을 고민하던 신발을 구입하게 되었다. 이제 가벼운 등산도 슬슬 다니는걸 취미로 해볼까해서..^^;
사이즈는 나이키 운동화 기준으로 반업! 매장에서 정사이즈, 반업 둘다 신어봤는데, 남녀공용이어서 혹시나 했는데 반업이 정확했음..ㅎㅎ
장점으로 딱 집을수 있는건 다음과 같았다. 쿠셔닝 -> 신어보신분만 느낄수있음. 발바닥 보호는 확실함. 고어텍스 -> 방수. 회사 출근할때도 한번씩 신고갔는데 바닥이 미끄럽지도않고 신발에 물 안들어가서 대만족. 가벼움 -> 집에서 측정해보니 320g정도로 나온다.
단점은 이상하게 발에 땀이 좀 찬다. 고어텍스 신발이어서 그런지, 남색이어서 빛 에너지를 잘 모아서 그런지..발에 땀이 난다. 다른 신발 신었을 때 한번도 못느껴본..ㅠㅠ 사실 등산화같은 신발은 처음이어서 다른 등산화도 마찬가지일거 같지만.. 그리고 밝은 색이면 좀 덜할거같긴 하다.
밑창? 불편함 뭔가 밑창의 경계부분이 걸을때마다 느껴진다. 좀 느낌이 안좋음.. 내 발이 특이해서?인건지는 모르겠으나 좀더 불편하면 다른 사제 밑창을 구입하려 한다.
1. 교통이 생각보다 괜찮습니다. 여의도(버스,지하철), 잠실(버스), 1호선, 구로디지털단지(버스) 등등 빠르게 이동 가능.
구디역에서 강남역은 30분안으로 가능하기도 하구요.
경수대로,시흥대로로 버스가 엄청 많이 다니기에 다양한 조합이 가능합니다. 서울동쪽, 중심쪽(여의도 + 시청역), 경기남쪽 맞벌이면 괜찮은 자리라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고속도로는 강남순환, 제2 경인 등 고속도로가 바로 붙어있습니다. 공항 버스도 시흥대로로 시간마다 한 두대씩 다닙니다. (코로나 이전이라.. 이후는 확인이 필요함) 광명역 ktx 도 멀지않은곳에 있어서 여행가기 괜찮습니다. 광명역까지는 마을버스도 다닙니다.
새벽마다 회사 통근버스를 타려고 일찍 나서는데..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자동차 등등 버스가 다니는걸로 보입니다. 기아대교 건너가면 바로 기아자동차 공장도 있습니다.
2. 녹지도 좋습니다. 산책하기 좋은 안양천길이 있고 + 자전거타는거 좋아하시면 한강까지 다녀오셔도 좋습니다.
삼성산 등산입구가 석수역에 있습니다. 주말엔 삼성산을 오르는 등산객분들이 엄~~~청 몰려옵니다. 번잡스럽긴 하지만....쓰레기 버리는 사람들도 있고 담배피는사람도 있지만... 오히려 등산을 좋아하는 분들에게는 최고가아닐까 싶습니다. 삼성산 올라가는길 도로에 주차해놓고 올라갔다 오시는분들도 제법 있는걸로 보입니다. 전 세번정도 올라본듯..^^; 안양천은 거의 매주 주말마다 산책을 하고있습니다.
이제 좀 애매한 부분.
1. 편의시설.. 유머글에보면 호갱노노에서 있을게 다있다는건... 치킨집+세탁소 만 있다는 뜻이라고 한다는데..
여기도 있을건 다있다..^^; 2년전만해도 배달이 좀 아쉬웠었는데, 코로나 덕분인지 발달해서 그래도 요샌 광명, 금천구 쪽에서도 배달이 옵니다.
스타벅스도 있고.. ㅎㅎ 차타고 조금만 나가면 광명 코스트코, 이케아 그리고 금천쪽에 홈플러스까지도 가기 편합니다.
개인적으론 버거킹만 있었어도 만족했을듯..ㅋㅋ백화점 있으면 완전..좋겠지만 그건 앞으로도 현실적으로는 쉽지않아보입니다.
2. 철길 소음.
화물철 소리가 들립니다. (창문 열었을경우) 그래서 밤엔 문닫고 에어컨 키고 자고있습니다..ㅎㅎ
교육 그닥 - 학군은 기대하긴 아쉬운 수준.
안양은 평촌이라는 학군이 좋은 동네가 있어서 그게 아니라면 메리트가 적기는 합니다. 물론 고등학교가 평준화 이지만 요즘은 중학교 학군이 중요하다고 하니..
그럼에도 특히 초등학교..가 연현초등학교 뿐인데, 도로 오른쪽에 학교가 하나 있었으면 어땠을까 싶다.
만약에 매매하신다면! 가성비로 접근하는게 맞을거 같습니다. 그리고 뚜렷한 호재는 이정도 인거 같습니다. 철제상가 이전(가능성은 모르겠..), 신안산선, 월판선 등의 수혜지는 분명함.
두산위브가 가장 가격이 비싸게 나오고있습니다. 아무래도 역에 가장 가까워서 인거 같은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