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매수 MSFT 2ea, VNQ 1ea, IIPR 1ea, IEF 1ea, KOS 10ea, VZ 1ea

매도 ARKK 3ea (전량매도 예정) 

배당  ARKK 5.48, MANU 1.53

 

올해 나의 기조는 AAPL, MSFT 비중 30%정도 상향하면서 에너지, 부동산, 금융 을 위주로 추매하려고 하고있다. 지금 금리를 올리니 마니 가지고 시장이 크게 흔들리는데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는게 대부분의 내 포트이다. 특히 미국의 고용 회복이 거의 최고조이기에, 미국 경기회복은 자연스럽게 주가상승을 견인할거라 보고있다. 실적이 있을 기업에 미리 선점해서 투자하자. 

Inflation 기조를 이어가며 SBUX가 큰 타격 ㅠ 을 받고 있는데, 매장 커피가격을 올리면서 어느정도 상쇄해줄걸 믿고있다. 결국 지금 인플레이션의 문제는 공급망 해결과 더불어서 생각해야되는데, 가격 결정권이 있는 까페라고 생각하고 있어서 아직까지는 괜찮게 생각하고 있다. 

더불어 기름등 에너지 가격이 난리다. 덕분에 KOS가 떡상하면서 순식간에 30%정도의 수익을 내고있다. 아직 소액이긴 하지만, 지금 기조는 3년정도 진행될거라 보고있어서 단기적으로는 조금 정리하고 실현한다음에 고배당 기름주인 XOM등을 매집해보려고 한다. 

올해 금융주도 좋아보인다. 작년에 MS가 배당을 두배 인상하면서 내 주가에 큰 보탬이 되어줬는데, 올 여름 배당을 어느정도 늘려줄지가 딱 이회사 주가가 어떻게 반영될지 확인이 가능해 보인다. 나는 MS 뿐 아니라 JPM을 조금 넣어볼 생각이다. 낮은 1,4,7,10 배당액에도 도움을 줄거라 판단했기 때문이다. 

PLTR, ARKK는 뼈아픈데.. ARKK는 좀 정리하면서 보려고 한다. 지금 여기는 총기를 잃은거같다. 연말에 TSLA 대량 매도하자마자 떡상하는걸 보면서.. 무슨 생각으로 운영하고 있는건지 이해가 안된다. 비중관리? 자기들은 저점이라고 생각하는건가! 이해가 안된다. 적어도 TSLA에 자신이 있다면 판매량 발표 정도는 어느정도 생각하고 매도 타이밍을 잡아야되는거 아닌가? 어의가없다.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새해 첫날이니 2021년 최종 정리를 하려고 한다. 

 

2020년 말에 집을 사면서 대부분의 주식을 팔고 (ㅠㅠ) 다시금 모은 지금의 포트폴리오다.

21년 11월에 이사를 하면서 (갭투후 잔금 주고 입주) 그전까지 월급은 대부분 잔금을 만드는데 집중한탓에 입금을 많이 못했다. 그래도 돌아보니 천만원 넘는 돈을 입금! 역대급으로 좋았던 미국장이었다고는 합니다. 내 포트는 그냥 중간정도 한거 같다. std는 떨어져도 중간정도 한건 나름 최적화된 PF라고 스스로 위안을 삼으려고 한다..^^;

 

2021년 1월1일 $18,025.28 -> 지금 $36,964.83 (+$18,939.55)

입금 $12,507.96 (1년간 꾸준히 나눠서 입금) 

수익실현 $1,304.21 (3.53%)

배당 $483.78 (1.31%)

 

2022년시작하면서 ICLN은 매도하였다. 아직 친환경 에너지는 효율이 없음을 인지하게 되었고, 무엇보다 전통 기름 + 가스의 파워를 실감한 연말이었다. 유럽이 가스관에 허덕이고.. 텍사스도 한번 털리고.. 사실 바이든 정부가 오면서 ICLN, IFRA 두 ETF를 매수하였는데 IFRA만 유지하기로 했다. 그리고 의료용 마리화나 관련주인 IIPR을 매수하였다. 꾸준히 배당이 늘어나고있는(심지어 분기별로..) 아주 매력적인 회사다. 한달에 하나씩을 사려고 한다. 

 

올해 비중 Target은 다음과 같다. 미국채는 내 평생 유지할 PF의 바닥이라 생각하기에.. 요새 애플 마소가 달려줘서 비중이 조금 깨진면이 있다. 이 둘 주식을 매도할 생각은 전혀 없으므로(...) 월급+성과급으로 비중을 만들어주려고 한다. 

내 PF는 또 1,4,7,10 월 배당이 약한데.. 이때 배당을 주는 배당주를 하나 찾고있다. 올해는 이정도 추가하고 월급 들어오는건 비중에 맞춰서 매수해주는 전략으로 가려고 한다. 

반응형
반응형

 

배당 : IFRA 3.03 EWS 34.96 ICLN 2.92 IEI 0.77 IEF 2.34 JNK 8.21

매수 : MANU 2ea PLTR 1ea SBUX 1ea IEF 1ea KOS 20ea KO 1ea VZ 1ea MSFT 1ea AAPL 1ea

 

한해가 점점 마무리가 되고있다. 오늘은 크리스마스이브여서 미국장은 휴장이었고. 월 배당주는 내 채권 ETF들은 12월로 땡겨서 배당을 입금해줬다. (이걸보니 정말 한해가 가는것 같다..) 

그리고 감사하게도 특별성과급도 들어와서..매수하려했으나 휴장이어서 다음주에 포트폴리오 비중 조절하며 매수를 하려고한다. 다음주도 신나게 주식 쇼핑이 가능할것같아 설랜다. 이번주는 그래서 월급의 일부로만 이것저것 추매하였다. 그리고 이미 250만원 수익은 달성해서 최대한 과세하지 않는 범위에서 조정을 해보려고 한다. 연말로 가면서 소위 Contact 주식이라는 것들이 폭락하면서 + 고 PER tech회사들도.. 내포트 구성종목들도 괴리감이 제법 크다.  애플 +40%, PLTR -17.5%등등. 

 

다음주엔 한해를 정리하는 포트폴리오 공유와 새롭게 전략을 고민해봐야 될거같다. 특히 금(IAU)가 약간 계륵이다.

인플레이션 hedge 역할을 잘 못하는것같다. 이전과는 다르게 비트코인이 제도권으로 들어오고 있는중이어서 그런지 오히려 비트, 이더를 구입하는게 더 맞아보일정도다. 내년에는 이더리움을 금 대신 활용해볼까 고민중이다.. 인플 hedge는 다행스럽게도 VNQ(부동산 etf)가 잘해주고있다..^^; 

 

SBUX의 노동조합 관련해서. 임금이 정확히 어떻게 늘어나는지 재무재표를 보고 투자를 고민해보려 한다. 아직 숫자로 나온게 없어서 움직이고 싶지 않다. 아울러 내년에는 1,4,7,10월에 배당을 주는 배당주를 한종목 넣어보려한다. 내 포트는 상대적으로 그 달에 배당이 낮아서.. 

반응형
반응형

배당입금 : KO 15.35

매수 : PLTR 1ea, SBUX 1ea

 

역시나 혼란스러운 한 주였다. 특히 자본의 쏠림이 심한 한주로 기억된다. 오를주식만 오르는..

배당주로 갖고있던 KO, PG등이 굳건하게 지켜주고 있지만 많은 기술주들이 크게 떨어지기도 했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valuation 하락으로 연결되고 있는데..

사실 테이퍼링 이후 금리 인상은 정해져있지만 테이퍼링이 유동성 하락이 아니라 속도의 하락이기에

큰 걱정은 안하고있다. 

그리고 다음주는 월급과 성과급이 들어오는날.. 포트 정비를 해보려 한다. ㅎㅎ

KO 배당이 얼마나 오를지 정기적으로 확인해봐야겠다. 아직 홈페이지에 소식은 없네. 

반응형
반응형

 

배당입금 : JNK 8.14 IEI 0.71 IEF 1.94 MSFT 5.8

매수 : CCL 1ea

 

역시나 혼조세를 보이는 한주였다. 내포트는 전반적으로 회복되었다. 즉, 옴니크론 변이관련 이슈는 소강상태로 가고있다.

역대급 인플레이션 상황(6.8%는 태어나서 처음 본 숫자다..) 그럼에도 내가 가진 주식중에선 AAPL, PG가 역대 신고가를 찍으며 달려가는 중이다. 이제 MSFT가 더 힘내서 달려줄거라 생각한다. 이 두 주식은 점점 사기 힘들어질 주식이라 판단하고 있다. 자사주소각 + 배당증가.. 안살수없는 주식이다. 과연 내 연봉이 해마다 10%씩 늘까? 라고 생각하면 더더욱,,

PG는 코로나로인한 위생용품 판매 증가, 가격방어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주식이다. 일반적으로 소비재는 인플레이션에 힘든경우가 많은데 (그래서 서비스 주를 선택한다) pricing power가 있어서 가능한거같다. 이미 가격을 상향하고있다. 

양도세를 줄이는 효과를 보기위해 손실이 컸던 GILD를 매도하고 재매수하였다. 

 

CCL(카니발 - 크루즈) 한 주 추매해봤다. 얼렁 월급이 나오길..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