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매 해마다 주주서한을 통해서 자신의 투자철학과 한해를 돌아보는 버크셔 헤서웨이 워렌버핏의 2020 주주서한을 요약해보고자 한다. 항간에 Tesla를 매입했다는 소문이 있었으나 역시나 거짓이었다. 그리고 Apple을 사랑하고있는건 아마도 애플의 서비스와 물건(스마트기기) 들이 하나의 큰 소비재라고 판단하고있는것 같다. 

가치투자의 대장, 대부 이신 버크셔 해서웨이 주주서한을 살펴보자. 

 

#1. 수익

크게 볼건 $42.5 billion 의 Earning. $4.9 billion의 realized capital gains (수익낸 주식이라 이해하면 됨) 

그리고 $11 billion의 write-down (PCC 관련) 여기서 write-down은 자산가치 손상으로 인해 가치를 줄여서 장부에 쓴 거라고 보면된다. 한국말로는 상각? 이라고 표시하는것 같다. 

출처: Berkshire Hathaway 홈페이지 SHAREHOLDER  LETTERS

#2. COVID -19

 

사실 주식위주의 포트폴리오를 갖고있는 버크셔 헤서웨이의 경우 코로나로 인해 엄청난 변화를 겪은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신기한건 관련해서 거의 언급이 없었다. 이정도 상황은 그냥 별거 아닌것이다? 버핏과 멍거의 경우 경제상황이라던가 이런것에 집중하기 보다 사업에 대한 투자에 집중하고 종목을 발굴해 장기 투자하는것에 초점을 두기때문에 일부러라도 언급을 안한걸로 보인다. 

그리고 특이한건 언론사들이다. 특히 2020은 미국사회에서도 격변?을 격은 한 해 이다. BLM, 의회 침입 등등. 미국사회의 큰 문제점이 수면위로 나온 한 해 인데 관련해서 언급이 없다고 비난하는 언론사들이 꽤 많았다. 개인적으로는 주주서한인데, 주주를 위해서 쓴 편지인데 왜? 라는 생각이 들지만. Billionaire로서 한 말씀 해주시길 원했나 싶다. 

 

COVID-19관련해서는 NFM 이야기로 한줄 나온게 전부다. 

출처: Berkshire Hathaway 홈페이지 SHAREHOLDER  LETTERS

 

#3. Buffett's "Big Mistake"

 

1965부터 2020 까지 연평균 수익률을 20%를 기록해온 그도 실수를 할 때가 있다.

바로 #1에서 이야기했던 write-down관련 이야기인데. 바로 Precision Castparts Corp 관련 이야기이다.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PCC의 이익을 바라봤었다는 그의 이야기. 우주항공 산업에 대한 계산이 틀렸다는데, 코로나 상황에 철강업이 특히 비행기제조 관련해서 힘들었을수도 있겠다 싶다. 

 

출처: Berkshire Hathaway 홈페이지 SHAREHOLDER  LETTERS

 

#4. Best Performers

보험 부분과 에너지, 철도 infra 관련 투자에 대해서 아주 만족하고있음을 보였다. 안정적으로 현금흐름을 가져오고 있고 이렇게 꾸준히 현금을 주는 사업은 참..부럽다 ㅎㅎ

그리고 특히 강조한건 Apple 투자와 관련된 내용이다. 

 

2016~2018까지 Apple 주식을 매입했고, 2020에는 살짝 판매해서 수익도 얻었다고 한다. 

그럼에도 Apple 지분이 오히려 증가했는데, 그건바로 Apple이 꾸준히 자사주 매입을 해왔기 때문이다. 

가만히 있어도 좋은 회사의 지분이 증가해서 좋은 상황이라고 한다. 게다가 Berkshire도 자사주 매입을 하기때문에 주주입장에서도 Apple의 비중이 자연스럽게 증가하는 상황이다.  

출처: Berkshire Hathaway 홈페이지 SHAREHOLDER  LETTERS

 

#5. Conglomerates (대기업)

 

우리나라는 정말 대기업들의 나라이기때문에 오히려 더 쉽게 와닿을수있겠다. 주주서한에서도 Conglomerates 에 대해서 부정적인 시각이 있을수 있지만 우리의 Conglomerate는 다르다고 이야기하고있다. 회사 지분이 많으면 control 할 수 있는 부분이 커진다. CEO 선임이라던가 주주 투표에서 영향력이라던가. 그럼에도 자신은 control 여부와 상관없이 가치있는것에 투자한다고 말하고있다. 다른 Conglomerate 들이 명성을 더럽힌것이고..

 

#6. Bonds(채권) 관련? 

 

개인적으로는 투자 자산에 일정부분은 반드시 채권, 금, 상업부동산 을 반듯이 들고있지만 버핏의 관점에서는 그게 반드시 옳은것은 아니다. 전통적으로 채권은 주식과 correlation이 낮기 때문에 같이 갖고있으면 risk-hedge가 가능한 개인에게는 아주 중요한 투자방식이다. 그럼에도 버핏의 버크셔해서웨이는 이런식으로 투자를 하지 않는다. 특히나 지금은 채권의 수익률이 매우매우매우매우 낮기 때문! 가치있는 주식을 장기보유하는것이 최고라고 판단한다. 그냥 나도 코카콜라를 대신 사야되나....싶다. 

출처: Berkshire Hathaway 홈페이지 SHAREHOLDER  LETTERS

#7. Repurchase (자사주매입)

 

CEO관점에서는 자사주매입은 강력한 무기일수있다. 대부분 CEO는 목표주가 달성으로 인센티브를 받기 때문인데, 스스로 목표달성을 위해 자사주매입을 하는 양아치?가 있기때문. 

 

회사를 운영함에 있어서 현금보유는 정말 중요하다. 사업을 위해서 투자할 힘이기 때문인데, 그럼에도 버핏은 투자할 곳이 없다면 가만히 들고있기보다는 주주가치재고를 위해 자사주를 매입하는건 괜찮은 투자라 믿고있다.

 

출처: Berkshire Hathaway 홈페이지 SHAREHOLDER  LETTERS

결론!

사실 다 읽고나서 딱 한 줄이 기억에 남는다.

네 맞습니다 형님. 

 

출처: Berkshire Hathaway 홈페이지 SHAREHOLDER  LETTERS

 

반응형
반응형

누구나 특별한 존재이고 싶은걸까?

 

사실 후배한명이 자기 club house 초대받았다고 이것저것 보여주는데 겉으로는 별 관심은 안가졌으나

솔직히 뭔가 나도 초대를 받고싶다는 마음이 생겼다. 특별해 보이는 느낌

초대를 받아야지만 가입이 된다는 신기한 시스템 때문인지..^^;

이러한건 또 한국에서 잘먹히지..ㅎㅎ

 

그러던 와중에 친구하나가 초대를 해줘서 가입을 해보았다.. 

도대체 뭐때문에 핫한걸까? 

간단히 돌아보니 유명인들의 목소리를 직접 들을수있다는것?

지난주 내내 미국 나스닥이 폭락을 했는데, 오후에는 한국 에널리스트 한분이 택시타고 이동하는 길에 이야기 해주는걸 들을 수 있었고 오전에는 미국의 햇지 펀드 매니저들끼리 이야기하는 내용도 들을 수 있었다. 

다양한 쌍방향 대화가 가능하고 그 대상이 우리가 직접 만나기 힘든 사람들일수 있다는 것이, 커다란 매력이 아닐까 싶다. 

 

요새 유행하는 SNS는 이렇게 요약이 될거같다.

인스타그램은 사진(이미지) 중심, 틱톡은 짧은 영상, 유튜브는 동영상 중심의 플래폼이라면 클럽하우스는 단순히 오디오 중심인 거다. 데이터를 전달하는 사람 입장에서도 유튜브 보다는 편하게 할 수 있을거라고 본다.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이동하면서 듣는 경우가 많아서 유튜브도 목소리만 들으며 가는 경우도 많았는데, 따져보면 같은? 서비스일수도 있겠다. 

 

그래서 Club House에 투자하려면 어떻게 해야될까?

결론적으로 말하면 비상장회사이기에 직접 투자는 불가능하다. 

작년에 Series-A 투자를 유치했고, CNBC에서 이야기하는 기업가치는 약10억달러라고 한다. 

 

Clubhouse에서 사용하는 RTC(Real Time Communication) technology 가 Agora의 API라서,

대체투자 개념으로 Agora 주식을 구입하기도 한다. 

Agora는 다른 글에서 다뤄볼 계획이다. 

앞으로 이들은 어떻게 돈을 벌것인가? 

아직 수익모델이 없다는 것이 또 장점이자 단점이 아닐까? 

iOS에서만 가입이 가능한것 자체가 beta test하는 느낌이지만. 그럼에도 폭발적이 다운로드 수를 자랑하고있다. 

8백만회 이상 전세계에서 다운을 받았다고 하고,,

 

사람이 모이는 땅은 임대료가 비싸지는건 만고불변의 진리. 

사람이 많이오는 홈패이지도 마찬가지다. 이렇게 단순히 접근한다면 광고로...ㅎㅎ 시작할수도 있겠고

아프리카티비나 유튜브 처럼 풍선쏘는것으로 갈 수도 있겠고,

아니면 구독서비스도 가능할거같다. 

실제로 Terms of Service  부분을 보면 구독 서비스를 준비하는듯한 뉘앙스도 볼 수 있다. 

반응형

'IT > Ven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anley Robotics 의 발레파킹 로봇 stan  (0) 2019.02.03
반응형

전세계를 강타한 COVID-19. 이런 힘든 상황속에서 명품업계는 어떻게 보냈을까?

그중에 대표적인 LVMH 그룹의 재무재표에서 특별했던 부분을 간단히 보고자 한다. 

자료 출처는 LVMH 그룹 홈페이지에 올라와있는 연간보고서다.(2020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우선 LVMH 주식은 미국에 상장된 회사가 아니고 프랑스에 상장이 되어있다. 당연하게 유로로 구입을 해야된다. 지금 가격이 대략 530 유로. 시가 총액은 300조 이상되는 대기업이다. 삼성전자가 8만원 기준 약 450조 정도이니 어느정도 크기가 그려질 것이다. 이 그룹이 가지고있는 브랜드는 어마어마하게 많다. 

패션 : Louis Vuitton, Herluti, RIMOWA, LOLO PIANA, FENDI, CELINE, Christian Dior, GIVNECHY, KENZO, Mark Jacobs

Wines & Spirits : Moët & Chandon, Dom Pérignon, Veuve Clicquot, Ruinart, Krug, Glenmorangie, Ardbeg, Belvedere, Eminente

시계 쥬얼리: CHAUMET, TIFFANY&CO, TAG HEUER, ZENITH, BVLGARI, FRED, HUBLOT

DFS, SEPHORA도 갖고있다. 그냥 화장품, 명품등에 투자하고싶다면 이거 고르는게 속편할정도. 

 

주가는 작년 2월 저점을 찍고 서서히 상승해서 신고가로 달리고 있는 상황. 

 

매출 구조는 다음과 같았다. 

코로나로 인해 당연하게도 매출이 감소되었다. 코로나 상황에 맞춰서 당연(?)하게도 retailing에서 큰 타격을 입었다. 마스크를 쓰고다니니 자연스럽게 화장품매출 감소로도 이어졌다. 그럼에도 Fashion, Leather Goods 사업부문은 2019년 상황을 거의 유지했군요. 

 

 

 가장 궁금했던 데이터는 분기별 데이터이다. 코로나 상황을 지나오면서 변해온 상황을 한눈에 알수있기 때문.

가장 어떻게 대처할지 몰랐던 심각한 상황이었던 2쿼터는 그야말로 "작살"난 상황이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특히 주목해야 된다고 생각하는건 4쿼터의 회복력. 연말에 선물?시즌이기에 매년마다 4쿼터가 매출이 가장 높은건 볼 수 있다. 그럼에도 특히 Fashion 부분은 7000M 유로를 뛰어넘으며 신기록을 써가고있는 상황. 내년이 기대가 되는 부분이다. 한국 여자분들도 코로나 이후 많이들 명품을 구입하고있다고 하는데, 농담반 진담반으로 여행을 못가서 라고 한다. 남자는 차, 여자는 가방.. 우리나라 여자들 뿐 아니라 전세계에서도 이런 소비형태가 이뤄지고 있다고 볼수도 있겠다.  2020년 보고서에도 하반기에 강력한 회복을 보였다고 명시해놓았다. 특히 아시아 시장. 

 

 

이제 차근차근 Balance Sheet를 보자. 

크게 볼 점은 자산이 늘었나. 무슨 항목이 늘었나. 어떻게 늘렸는지 추측. 정도 겠다.

Cash가 늘었구나. 어떻게 늘었을까? 매출은 감소해서 늘릴 구멍이 없어보이는데..

부채항목을 살펴보자. 

아닐까다를까 부채(aka대출)을 이용해서 늘렸다고 추측이 가능하다. 물론 자세한건 현금흐름표를 봐야된다. 

Long-Term Borrowings가 9,000 정도. Short-term borrowings가 3,000정도 총 120,000! 위에 현금늘어난것과 얼추 맞아보인다. 현금을 늘린다는건 그나마 괜찮다. 그래도 투자를 한다던가 하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 좋은 방향으로 투자해서 기업의 매출 확대에 기여한다면 정말 좋은 회사가 되는 지름길이기 때문이다. 

 

 

이제 현금흐름표다

좀 길어서 좌절할 수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건 각 현금흐름의 부등호가 아닐까 싶다. 일반적인 회사라면 영업현금흐름 (+), 투자 현금흐름 (-), 재무 현금흐름 (-) 가 정상?적인 회사라고 보면된다. 특히 영업현금흐름이 적자인데 다른데서 돈땡겨다가 재무재표를 이쁘게 꾸미는지 등은 반드시 확인해야된다. LVMH는 확인해보면 영업 10,897 투자 -2,939 재무 +7,403 으로 보인다. 위에 증가한 현금이 대출과 영업활동에서 나온것임을 다시 확인 할 수 있다. 

그럼 이 돈으로 뭘한다는걸까?

바로 LVMH 그룹 출범 이후 최대 M&A라고 하는 민트색 박스 TIFFANY &CO 인수를 위한 자금이다. 

아래 표는 발행한 채권을 보여주는데 대략 14조. 헉 ㅋㅋ 12월의 재무재표이기에 다음 1쿼터 재무재표를 보면 저 현금들이 사라지고 goodwill등으로 묻어 들어가있을거다. 

그리고 신기한건 wine 땅 정도겠다. 재무재표상으로는 영업활동을 위한 구입은 자산으로 잡히고 감가상각을 하게되어있다. 와인땅도 마찬가지다. 2020년에도 19M euro 만큼의 땅을 구입했다. 재무재표 주석에 와인땅의 수명은 18~25년으로 보고, 감가를 때리고 있다고한다. 와인땅이 25년 후에 무쓸모가 될까? 생각해보면 글쎄다 싶다. 물론 지구 온난화등을 직격으로 맞아서 나파벨리에서 와인을 못키운다면 손상처리로 해야되는 슬픈 상황이 발생하겠지만 지금 미리 비용처리하는건 정말 나중엔 좋아보인다. 땅은 기계처럼 망가져버리는게 아니니깐.  

 

결론적으로는 코로나 이후 회복을 보이는 명품시장. 티파니앤코 인수절차 마무리. 올해도 면세점등은 힘들것이 예상되지만 가능성이 열려있는 주식이라고 보인다. 

개인적으로는 앞으로 당분간은 명품 시장은 호황일것이라고 보기때문에 환전없이 간단히 투자할라면 하나로 글로벌 럭셔리 ETF도 추천한다. 

반응형
반응형

프리미어의 명문구단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미국 뉴욕 거래소에 상장 되어있는 구단이다. 사실 상장된 구단이 많지 않아서 가치 비교를 하기는 아주 어렵지만, 간단하게.. 앞으로 돈을 벌 곳이라고 판단되면 좋은 주식이라는건 모든 주식에 통하는 공식이지요? (추후에 리버풀, 보스턴 래드삭스를 운영중인 펜웨이 스포츠그룹이 상장 준비중이라는데 잘된다면 하나의 옵션이 더 생기는거다!) 

 

COVID-19로 가장 심각하게 당한 종목들은 바로 여행, 카지노, 스포츠, 비행기, 공연 관련 업종들이 아닐까 싶다. 

사람이 모여야되고 사람이 다녀야 되는데 그것이 안되는 세상이다보니,

자연스럽게 돈을 벌지 못하는 산업으로 되었다. 

스포츠는 하나의 앤터산업이고 (경기를 꾸며낸다는게 아니라 다같이 모여서 훌륭한 축구를 보는것이라는 뜻)

티비로만 보는건 분명 한계가 있다. 응원 열기를 느끼고 승리의 순간도 만끽하면서 팬이 되는것. 

개인적으로는 유럽여행때 직관을 여러번 해봤는데 모두 잊을수없는 추억이다. 

이런 힘든 상황에서 재무적으로 튼튼하지 못한 회사들은 망하는 중일것이고,

그와중에 버텨낸 회사는 주식관점에선 크게 오를 곳이기도 하다. 

 

 

아래 표는 맨유의 3개월치 income statement (손익계산서). 

코로나 여파로 수익이 급감한걸 확인이 가능하다. 

지출부분은 차이가 없는걸로 봐선, 매출이 늘어난다면 자연스럽게 수익구조가 개선되는 시스탬이다. 

가장 크게 급감한건 22.1 -> 1.7 로 빠진 matchday revenue다. 

그리고 Commercial Revenue도 약 1/4 감소하였다. 

지금 당연하게도 관중입장이 안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급감하였다. 작년에 22.1 M 파운드 수익은 6경기의 홈경기라고 하니, 한 경기당 대충 50억 넘게 버나보다..^^; 홈경기 19경기니깐, 천억이고 챔스 등을 나간다면 더 환상적일거다. 

재무재표를 보면, 프리시즌 투어가 commercial revenue로 잡히는데 코로나로 인해서 감소하였고, 자연스럽게 유니폼 판매도 안된걸로 보인다. 물론 1년 결산이 나오지는 않았지만, 영국 코로나 상황을 보면 경기장 수익은 기대할수없는 상황이다. 

 

 

하나 주목해봐야 할 점은 바로 COVID-19 Confirmed case의 감소추세이다. 

영국의 경우 정말 심각한 수준이었는데 백신공급의 덕분인지 확실하게 감소 추세로 가고있다.

프리시즌 관중 입장이 기대되는 수준!

 

 

주가 흐름을 보면 최근 confirmed case가 급증했던 시기에 맞춰서 떡락...을 하다가 반등중인것으로 보인다. 

개인적으로는 어느정도 관중 입장이 다음 시즌에 가능해질것이라 보고

20달러 이상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 판단하고 매수를 진행하고 있다.

배당은 사실 큰 편은 아니다. 연 기준으로 1% 정도로 주고있다. 

티커는 MANU 한국에서 멘유라고 하는데 비슷하네..ㅋㅋ

 

 

기관 투자자들 지분을 보면 역시나 햇지펀드등 투자회사들이 대주주로 포진되어있다. 

뜬금 르네상스 테크놀로지.. 제임스 사이먼스 형!!

 

*투자는 개인의 판단으로 진행하는 것! 이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NBA 관련 중계 구독 시스템의 양대산맥 NBA 리그패스와 스포티비 나우를 비교해봤습니다. 


사실 NBA만을 보기위한 것인 리그패스에 비해 더 범위가 넓은 스포티비 나우와 비교하는건 어쩌면 좀 맞지않을 수 있지만,

한국에서 정식으로 농구를 보기위한 유료 컨텐츠이기에 두 가지를 비교해봤습니다.
두가지 각각 장단점이 명확해서, 각자 취향에 맞게 선택하시면 됩니다. 


1. 중계 방식


먼저 스포티비나우는 솔직히 레이커스, 골스 등 한국에서 인기많은 팀 + 서부 위주이긴 합니다.

시간대도 중요하기 때문인데요, 아무래도 한국시간 이른 오전은 시청률이 떨어질거라는 생각 때문인지 빅 매치 아니면 안해주는 성향이 강합니다. 

9시전 경기를 잘 안해주는 편이라 동부팀을 응원하면 고민해봐야됨..^^; 

그리고 전 경기 중계를 해주지 않습니다. 한국 중계가 아니면 그냥 해외방송 그대로 따와서 송출해줍니다. 

하지만 스포티비 나우의 큰 장점은 농구 뿐 아니라 해외축구나 격투기 등 다른 스포츠도 가능하기에, 다양한걸 즐기신다면 정말 괜찮은 선택입니다. 


리그패스의 경우 팀패스, 리그패스, 한달 8경기 패스 등등 다양한 옵션이 있습니다. 

그리고 매번은 아니지만 전국중계같은 빅매치는 ESPN, TNT 등 방송사를 선택해서 볼 수 있습니다. 한국SPOTV가 나오기도 합니다. 

리그 패스의 경우 전경기 중계지만 다 보는건 물리적으로 불가능해서 의미가 있나 싶긴하지만...^^정말 농구를 좋아하시는 분들은 많은 경기를 돌려가면서 즐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지난 20년간의 모든 파이널 경기 보여주는게 정말 좋습니다. 아재의...추억

스마트폰이나 미러링으로 티비로 보는건 괜찮은데 컴퓨터로 본다면 이상하게 화질이 낮음....720p로 지원해주는데 이해가안됩니다. 

스텟도 live로 업데이트되서 보기가 좋습니다. 



2. 가격


스포티비나우는 월 16000, 연 13만원 대

리그패스 월 25000 연 19만원 -> 팀패스의 경우 월 17000, 연 13만원정도..... 가격대가 애매해서 한다면 리그패스로 갈거같습니다. 그리고 연속구독이면 할인이 들어갑니다. (갱신이 자동인건 함정...) 각자가 장단점이 확실한만큼 개인에게 맞는 현명한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