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구글 스마트 자켓

 

영화 속에나 존재하던 스마트 자켓이 사실은 디자인 문제와 가격 실용성 등에서 의문이 제시되는 사실이었습니다. 이쁘지도 않고 비싸기만 옷은 사실 미적 감각과 실용성을 중시하는 현대인의 입장에서는 필요 없는 물건인 수밖에 없겠지요. 여기에 대한 대답이라고 생각해야 할까요? 구글과 리바이스가 합작한 웨어러블 스마트 자켓을 가을에 선보일 예정이라고 발표하였습니다. 기존의 스마트 워치 뿐인 웨어러블 기기가 단계 확대되는 것이라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the verge


12 더버지에 따르면 구글 첨단 기술 프로젝트팀(ATAP) 리바이스가 함께 만든 스마트 제킷이 가을 출시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자켓 이름은 커뮤터(commuter) 판매가격은 350달러가 이라고 합니다.

 

구글은 2015 스마트 옷감을 공개하고 리바이스와 협력할 예정이라고 밝혔으며, 지난해 연례 개발자 회의 I/O 2016에서도 스마트 재킷 출시 계획을 공개했으며 출시 일정은 원래 올해 봄이었습니다.

 

재킷은 프로젝트 자카드 (project jacquard) 라는 이름으로 2015 시작된 프로젝트의 결과물입니다. 자카드는 자카드 기술이 사용되어서 쓰인 이름인데 자카드 기술이란 센서 역할을 하는 데님 천에 전류를 흘려, 천이 사용자의 행동을 읽을 있게 하는 기술입니다. 한마디로 전도성있는 광섬유를 이용해서 옷을 만들었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가장 특징은 제킷 안에 다양한 센서, 배터리, 회로를 넣어 스마트 폰과 연계된 조작이 가능하다는 점이 있습니다. 소매 부분이나 단추를 민지는 방법을 통해 음악을 재생하거나 전화 수신 구글 지도 조작 등을 있습니다. 일종의 터치패드 역할을 하는 옷감이 블루투스로 연결된 스마트 폰을 조작하는 거라고 있습니다.

 

가령 사용자는 소매를 터치해 듣고 있는 노래를 재생 일시 정지 하거나 다음 곡으로 넘어가고 전화를 받는 스마트 조작을 있습니다. 자전거를 타고 이어폰을 상태에서 소매를 건드리면 음성으로 안내를 도와주고 전화가 걸려왔을 때에도 소매를 건드는 방법으로 전화를 받을 있게끔 하려고 한다 합니다.

 

블루투스 장치의 베터리는 이틀 정도 지속되며 간편하게 옷에서 떼어내 usb 충전할 있습니다. 그리고 신기한 점은 장치만 떼어내면 다른 옷과 마찬가지로 세탁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날씨에 따라서 옷에 열을 내서 따뜻하게 해준다거나 젖었을 경우에도 열을 내서 옷을 말려주는 기능 등을 가능하게 날도 얼마 남지 않은 같습니다. 그리고 색깔도 바꿀 있다면 뭔가 한번에 옷을 여러 느낌도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반응형
반응형

애플이 중국에서는 다소 주춤하나 여전히 세계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출처 : 애플 인사이더

 

스위스 투자은행 UBS  자료를 보면 작년 전 세계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 성장률과 아이폰 점유율 수치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YoY 란 Year on Year 라는 뜻으로 전년 대비 증감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자료는 UBS가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 아이폰의 판매량과 성과를 조사하기 위해 작년 12월 분기 시장 조사기관 가트너의 스마트폰 출하량 데이터를 분석한 것입니다. UBS 자료를 보면 미국 프리미엄 스마트폰 전체 시장은 작년 128% 성장세로 돌아섰습니다. 그런데 아이폰은 전체 시장 성장률의 두 배를 웃도는 19% 를 나타냈습니다. 또 유럽 프리미엄 스마트폰 전체 시장도 4% 아이폰은 16%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중국에서는 다소 주춤한 모습을 보였는데 중국 스마트폰 시장은 작년 한해 9% 성장했으나 아이폰의 판매량은 오히려 19% 감소한 걸로 조사되었습니다. 중국의 뜨는 업체인 Vivo, OPPO, Huawei 등은 작년 말 시장 점유율을 대폭 끌어 올렸습니다.

 

하지만 결론적으로는 중국 시장을 제외하고는 아이폰은 전세계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을 지배하고 있으며 게다가 이 수치는 아이폰 7 의 출시효과가 제대로 반영된 것이 아니라고 합니다. 게다가 아이폰6 구매자들이 이제 차기 작을 구입하려고 할 것인데 앞으로도 애플의 판매량은 줄지 않을 걸로 예상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애플이 애플 펜슬을 아이패드 프로에 고정하기 위해 스마트 커넥터 장착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애플 특허 전문 매체 patently apple 9일 애플이 차기 펜슬에 대한 특허를 미국 특허상표청에 신청했다면서 이같이 보고하였습니다.

 

Patently apple에 따르면 지난 201512월 제출된 이 특허 신청서는 애플 펜슬을 아이패드 프로의 스마트 커넥터 단자를 이용해 자석으로 고정하고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방법을 명시하였습니다.

 

처음 애플 펜슬이 등장했을 때는 혁신적인 아이템이라면서 칭찬이 자자했었으나 보관하는 것에 대한 불편함을 감수하고 다녀야 했습니다. 충전할 때는 애플 펜슬은 캡을 벗겨 라이트닝 단자로 충전 또는 연결해야 하며 심지어 사용하지 않을 때는 따로 보관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도 들고 다니다가 고장난적이 있어서 마음 아팠던 기억이 있습니다.

 만약 자석으로 단자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면 따로 보관할 필요성과 분실 가능성도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게다가 동시에 충전까지 하게 된다면 더 이상 펜슬로 인한 불편함은 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애플은 애플 펜슬을 아이패드 프로에 고정하기 위해 지금까지 다양한 방법을 고려했으며 뚜렷한 방법을 찾지 못했었으나 지금 대다수의 사람들은 드디어 방법을 찾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물론 아직까지는 시연 단계일 수 있으나 이정도 자세하게 묘사된걸로 봐서는 조만간 어쩌면 다음 시리즈부터 아이패드에 연결하는 애플 펜슬을 보게 될 수 있을 것 같다.

 

 

반응형
반응형

EDA Greek Street Food


저렴한 가격에 그리스 요리를 즐겨보고 싶다면 추천합니다. 



멜번의 마지막날 간 그리스식 음식점

사실 그리스 음식은 처음이라 걱정 반 기대 반 이었지만


듣기론 그리스에서 호주로 이주한 사람이 많았다고 들었는데

그래서 그런지 그리스 음식이 나름 맛있다고 들은 기억이 있다. 


그래서 검색하고 구글 리뷰좀 참고하고 찾아간 곳이다. 

외국분들 리뷰도 아주 훌륭하다고 해서 평소에는 그냥 지나만 다니는 곳이었지만 도전해보기로 했다.


멜번 시내에서 강 건너면 바로 있는 곳이니 찾아가기도 쉽다. 

아래 구글 맵 참고하세요. 강건너 2층입니다 ㅎㅎ




다음과 같은 뷰를 보면서 먹을 수 있다.

주말 점심시간에 방문해서 그런지 손님도 거의 없었고 게다가 화창한 날씨와 강바람이 아주 좋은 그런 

기분 좋은 날이었다. 

밖에서는 길거리 공연하는 음악소리도 들리고 새 지저귀는 소리와 함께

식사할 수 있는 장소입니다. 




이름도 잘 모르는 음식들이어서

그래도 special 에서 고르면 실패하지 않을거라는 믿음하에

이중에서 골라보았다. 

Pancetta  , Frikase  라는 음식과 그리스 맥주를 시켰다. 




Pancetta  라는 요리이다 28.5 달러 ( 아래 사진)

보기엔 뭔가 탄 고기 덩어리 같은 느낌이지만>> 살짝 당황했었다.

그런데 이전에도 설탕올린 고기는 구우면 검게 그을린거 같은 모양이 나온걸 본 적 있는게 생각나서 그냥 넘어갔다..ㅎㅎ 민망할 뻔했다.


돼지고기위에 설탕을 둘러주고 구은 요리이다.

따로 소스를 찍을 필요없이 달콤한 설탕맛과 짭쪼름한 고기맛이 섞여있는 독특하고 맛있는 요리이다.

아래에는 감자튀김이 있고

쌈이라고해야되나 ㅎㅎ 배추위에 오이 토마토 등을 이용한 야채들을 올려준 쌈이 있다.






Frikase 라는 음식이다. 

바깥은 양고기와 느끼하지 않게 만든 소스를 뿌려줬고 

안에 노란 부분이 밥이다. 카레향이 약간 났고 밖에 소스 + 고기와 같이 먹으면 조합이 아주 좋다. 






그래도 조금 허전해서 간식중에 하나 골라서 먹어보았다.

계피가루와 꿀을 뿌린 빵이라고 보면 된다. 

이건 너무 맛있어서 나중에 한국에서도 내가 만들어 먹으리라 다짐했던 음식이다. 

물론 아직까지 만들어 먹지는 못했지만. 





소중한 친구와 단 둘이 기분좋게 행복하게 식사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애플이 디스플레이상에서 지문 인식이 가능한 전자 단말 특허를 획득했습니다. 이 특허 기술을 바탕으로 스마트폰에서 홈 버튼을 없애고 사용자가 단말기 스크린 상의 어느 곳을 터치해도 지문을 인식해 지문인식을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더 커진 화면을 만들기 위해서는 홈 버튼을 없애야 된다고 내부적으로 생각한 것 같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홈 버튼을 어떻게 구현할지도 궁금합니다. 지금 존재하는 assistive key를 이용해서 사용하기에는 조금 걸리적 거리는 부분이 생길 것 같긴 하지만 이 특허를 통해 짐작 가능한 것은 애플은 홈 버튼을 없애고 싶다는 것입니다.

 

20172/28 미국 특허청은 애플이 지난 1/27 출원한 터치 디스플레이에 지문 인식 센서를 내장하는 전자 단말 특허를 승인했습니다. 특허 제목은 (electronics device including finger biometric sensor carried by a touch display and related methods) 입니다.

사이트 : https://www.google.ch/patents/US20160216813

 

특허 내용은 간단하게 디스플레이 상에 지문 인식 센서를 내장해 사용자가 스크린에서 지문 인식을 통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출원서를 살펴보면 기존의 터치 아이디는 홈버튼 위에 만들어진 전용 지문 인식 센서를 사용했지만 이 특허는 지문 인식이 디스플레이 자체에서 수행 될 수 있게 된다고 전했습니다.

 

지문 인식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은 멀티플 레이어 스크린 설계로 여기에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 최소한 하나 이상의 투명레이어 또 다른 지문 판독 레이어가 포함됩니다.

 

디스플레이의 최 상단 유리커퍼 아래에 지문 인식 센싱 레이어와 지문 인식 센서 픽셀 어레이를 배치해 지문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lower 투명 절연체 레이어에 있는 지문 인식 센서 IC 에 전달해 디스플레이에 전기적 자극 없이 지문 인식이 가능하도록 구현하려 하는 것 같습니다. 즉 이 인식 센서의 센싱 레이어 및 상호 연계 레이어 사이에는 투명한 전도성 트레이스를 가진 상호 연계 레이어와 투명 유정체 레이어가 포함됩니다. 이들은 적층 바닥에 있는 디스플레이 층과 맨 위의 투명 유전체 커버 사이에 샌드위치처럼 끼워져 자리잡게 됩니다.

 

 

애플은 한 동안 다수의 특허를 받아놓았습니다. 지난달 애플은 손가락 위치와 사용자의 지문을 읽어내기 위해 적외선 발광체와 디스플레이 센서를 결합한 적외선 다이오드를 사용한 대화형 디스플레이 페널 이란 명칭으로 특허를 받았으며 이는 애플에서 인수한 럭스 뷰가 개발한 기술입니다. (luxvue) 지난 10월 발표된 또 다른 특허는 정전기 헨즈를 포함한 정전 용량형 지문인식센서에 대한 것으로서 지문 판독 정확성 문제에도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정전랜즈는 손가락 접촉 표면과 정전 감지 어레이 간격으로 인해 생기는 전기장 효과 때문에 지문이 흐릿해지는걸 막아주는 기술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디지털 트렌드에 따르면 201612월 애플은 포커스 트레킹 기술 특허인 Optimizing capture of focus stacks 를 출원했습니다. (US 20160360091 A1)

이는 라이트로의 라이트필드 파나소닉의 4k post focus 와 유사한 기술로 사진 촬영 시 피사체와 배경 거리 정보를 다양하게 촬영 후 초점 위치와 심도를 조절하는 기능입니다. 대부분 일반 카메라에서 사용하는 기술이었습니다. 애플은 카메라 특허를 통해 포커스 스테킹 시 렌즈 군의 위치와 움직임 저장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 했습니다.

 

자동 초점 후 렌즈 위치가 고정되면 카메라 알고리즘이 화면 내 모든 피사체를 담는 데 필요한 목표를 깊이 계산하고 이를 토대로 렌즈를 자동으로 움직여 화면 내 모든 피사체에 초점을 맞춰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을 통해서 사용자는 사진의 초점을 임의로 바꿀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기존 다른 시스템은 일정 구간내의 초점거리 이미지를 모두 촬영 했던 걸로 알고 있는데 애플에서 특허로 낸 이 시스템은 target 값을 빠르게 구하고 그 부분부터 일정 구간만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이 기술은 약 2 초 정도 소요되는데 카메라 하드웨어와 연산 속도를 최적화 해서 일반 카메라 촬영과 비슷한 속도로 향상시키고자 한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0.5 초 이내에 촬영 할 수 있다면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재미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기술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렌즈를 빠른 속도로 움직이면서 정확한 사진을 찍는 게 쉽지 않겠지만 렌즈를 빠르게 움직이고 멈추는 시간이 필요하고 가능한 여러 이미지를 촬영 해야 되는데 그러기엔 시간이 부족할 확률이 높다.

게다가 어두운 환경에서 일정 밝기 이상으로 이미지를 찍기 위해 셔터 길이가 늘어난다면 촬영 할 수 있는 이미지 숫자도 줄어들 확률이 높습니다.


아이폰 8일지 그 후속작에 나올지는 모르겠으나 다양한 카메라 솔루션에 관심을 갖고 진행하고 있는걸로 보입니다. (사실 7+의 듀얼카메라는 거의 실패로...)

소니사에서 발표한 Dram이 추가된 이미지 센서와 함께 개발될 수도 있어 보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