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결혼한지 일주일정도 지난 이시점..

기억에서 잊혀질까, 그래도 혹시나 나중에 결혼을 준비하는 다른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결혼식 당일날 느낌, 필요한것들, 아쉬운 점등등을 적어볼까 합니다. 



신랑은 신부에 비해서 메이크업 소요시간이 짧아 덜 바쁘지만..그렇다고 혼자 여유부리면 뒷감당이 어려워지니 함께하는걸로 합시다.

간단히 먹을 간식도 챙겨가면 좋다. 예식 시간이 늦으면 몰라도 대부분 사람들이 결혼식을 하는 시간대인 11시~2시사이면 대부분 밥을 제대로 먹지 못합니다. 돌아보니 결혼식이라는게 상당히 고된? 행사이기 때문에 반드시 뭘 먹어 주도록 합시다. 


당일날은 우선 메이크업 샾으로 이동하게됩니다.. 소요시간은 신부의 경우 3시간정도....신랑의 경우 30분 소요된다. 

메이크업 샾을 가보면 많은 커플들이 대기하고있는 진 광경?을 볼 수 있따..^^;

샵에서도 아주 분주하기 때문에 따로 헤어컷을 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주일 전즘 다듬어 놓는게 필수입니다. 

주말 새벽, 오전이어서 그런지 청담, 압구정 등등도 주차가 가능한 편이었습니다. 직접 운전을 해도 좋아보인다.

필자는 웨딩카 서비스를 이용했는데 EQ900 이 와서.. 난생 처음으로 타봤다..신부가 메이크업 샾에서 드레스를 입고 나오는데

차가 크니 불편함 없이 올 수 있었다고 합니다.  도우미분도 만족..


신랑의 경우도 메이크업 샵에서 많이들 예복을 입고 움직이지만, 필자의 경우 짐을 따로 들고다니는게 귀찮았어서 예식장으로 예복을 들고와달라 하고

편한 옷으로 샵에서 식장으로 이동했었습니다. 기사분이 저같은 사람 처음본다고 하신거 보면 좀 특이한 경우는 맞는거 같습니다만, 이래도 상관 없습니다. 


메이크업 이후 식장으로 이동시간을 고려해야되는데 막히는 경우를 대비해서 넉넉하게 시간을 잡는게 필수입니다.  물론 샵에서 알아서 정해주고 해주지만

혹시나 시간 착오로 큰일이 발생할 수도 있으니 한번쯤은 챙겨봅시다. 

일찍 식장에 도착하면 대기실에 전 타임 신랑, 신부가 있을 수 있지만 그래도 어지간한 곳은 쉴 수 있는 빈 자리를 마련해 주니깐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식 시작 한시간 전 부터 손님을 맞이 할 준비를 할 수 있습니다. 손님들이 일찍부터 오시는 경우도 상당히 있기 때문에 최소 한시간전에는 모든 준비를 다 하고 있을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합니다. 

물론 중간중간에 간단히 신부와 예식전에 사진을 몇장 찍기도하고, 따로 간단하게 리허설도 한다. 

사실 어떻게 들어가지 등등 고민이 많았으나 그냥 자신감 갖고 씩씩하게 걸어가면 끝인거 같다.^^

리허설 때 또 자세히 알려주시고 식 진행하는 동안에도 옆에서 알려주시니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된다. 

그리고 직원분이 오셔서 오늘 식순에 특이사항이 있는지 확인을 하는데 이때 특별히 준비한게 있다면 미리 알려주셔야됩니다.

비록 신부 몰래 하는 이벤트일지라도, 예상밖의 시나리오는 직원들도 당황하게 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마지막 행진 전에 가족들과 다같이 인사하고 싶었었어서 시나리오도 써놓고 다 했는데 진행하시는 분이 그걸 빼놓고 하셨어서..ㅠㅠ

돌아보니 그거는 참 아쉽더라구요. 제가 한번더 챙겼으면 괜찮았을거 같고.. 


예식장앞에서 정신없이 인사하다보면 어느덧 입장 시간이 된다. 사진사를 고용하셨다면 잘 찍어주시겠지만 그게 아니라면, 이날 하루 특별한 날이니

친구들 무리?들이 올때마다 같이 사진을 꼭 남기세요. 핸드폰으로 간단하게 찍어도 좋으니..ㅎㅎ 그리고 결혼식 하객 사진은 보려면 시간이 아주 오래걸리니 가족분들한테 부탁해서 친구들 하객사진 찍을 때 멀리서 한장 찍어달라고 부탁을하세요. 나중에 누가 왔는지 확인 하고 감사인사하기가 좋습니다. 


식 진행후 피로연장에서 한바퀴 돌면서 가족들, 친지, 친구분들과 인사를 하게 되는데 무리해서 술 드시지 마시고 ^^; 


check list .. 이건 반드시 필요한것만인데 추가적으로 업데이트 해야겠습니다.. 

예복, 2부 입을 옷, (한복) , 식전에 먹을 간식, 현금, 립글로스, 핸드폰



반응형
반응형

한국 에어팟 프로 Airpods Pro 가격이 공개되어서

그 기념으로 다른 나라와 가격을 비교해봤습니다. 

한국 가격은 329,000으로 제법.. 비싼 가격으로 출시가 되는데요.

다른 나라들과 비교해봐도 비싼 축에 속한답니다..^^;

면세가 된다면 미국 케나다 일본 홍콩 정도가 구매해볼수있을거 같습니다. 

노이즈캔슬링과 인이어형식으로 나온 에어팟. 운동하거나 공부하거나.. 괜찮게 사용할 수 있을거 같습니다. 


   Airpod pro 
 한국        329,000
 일본          27,800
       10.61       294,958
 중국           1,999
     165.63       331,094
 홍콩           1,999
     148.04       295,932
 싱가포르              379
     852.44       323,075
 대만           7,990
       38.12       304,579
 호주              399
     794.74       317,101
 영국              249
   1,480.31       368,597
 독일              279
   1,276.83       356,236
 프랑스              279
   1,276.83       356,236
 미국              249
   1,158.76       288,531
 캐나다              329
     876.02       288,211


반응형
반응형

아이폰 11의 저가모델 iPhone 11의 가격이 공개되었습니다.

지난번 버전이랑 한국은 가격이 동일. 자국통화 기준으로는 일본 중국은 조금 싸졌습니다. 

이제 애플도 스트리밍 서비스로 이동하면서 더 많은 고객 확보를 위해서 이런 가격 정책을 쓰는걸로 추측됩니다. 

그래서 그런지 중국도 한국보다 저렴한 기 현상이...


Iphone 11 pro, max 가격 비교는 이 곳을 클릭하세요.


일본, 미국이 가장 좋고 홍콩, 중국 캐나다 정도도 괜찮아 보입니다. 



 

 iPhone 11

 

 64 G

 128 G

 256 G

 한국

      990,000

    1,060,000

    1,200,000

 일본

        74,800

        79,800

        90,800

       11.18

      836,264

      892,164

    1,015,144

 중국

         5,499

         5,999

         6,799

     167.70

      922,182

    1,006,032

    1,140,192

 홍콩

         5,999

         6,499

         7,299

     152.71

      916,107

      992,462

    1,114,630

 싱가포르

         1,149

         1,219

         1,389

     866.66

      995,792

    1,056,459

    1,203,791

 대만

        24,900

        26,900

        30,400

       38.85

      967,365

    1,045,065

    1,181,040

 호주

         1,199

         1,279

         1,449

     807.44

      968,121

    1,032,716

    1,169,981

 영국

            729

            779

            879

   1,463.00

    1,066,527

    1,139,677

    1,285,977

 독일

            799

            849

            969

   1,313.05

    1,049,127

    1,114,779

    1,272,345

 프랑스

            809

            859

            979

   1,313.05

    1,062,257

    1,127,910

    1,285,476

 미국

            699

            749

            849

   1,197.90

      837,332

      897,227

    1,017,017

 캐나다

            979

         1,049

         1,189

     899.70

      880,806

      943,785

    1,069,743


반응형
반응형

드디어 한국에 아이폰(iPhone) 11 pro, 11 pro max  공식 가격이 홈페이지에 공개되었습니다.

나라별 아이폰 11 가격 비교는 이곳을 클릭하세요. 


가격대의 큰 특징은 미국 캐나다는 Xr과 가격을 동일하게 했는데, 환율 때문인지 다른 나라들은 소폭 변화를 줬습니다. 

한국은 여기서 조금 손해를 봤어요. 11 pro는 대략 2만원, 11pro max는 대략 5만원 씩 Xr에 비해서 비싸졌습니다. 

일본 중국은 자국 통화 기준으로 조금 싸졌는데 아무래도 중국 시장을 좀 노리고 변화를 준게 아닌가 추측이 되네요. 그래도 한국사람은 중국에서 사면 손해지만..^^


다른나라와 가격을 비교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10/9 환율 기준입니다)

면세로 산다면 일본, 미국 이 가장 좋아보이고 캐나다 , 홍콩 정도가 괜찮아 보입니다 ^^;


 

 iPhone 11 Pro

 iPhone Pro Max

 나라

 64 G

 256 G

 512 G

 64 G

 256 G

 512 G

 한국

   1,390,000

    1,600,000

    1,820,000

   1,550,000

    1,760,000

    2,030,000

 일본

     106,800

      122,800

      144,800

     119,800

      135,800

      157,800

       11.18

   1,194,024

    1,372,904

    1,618,864

   1,339,364

 1,518,244

    1,764,204

 중국

        8,699

         9,999

       11,799

         9,599

       10,899

       12,699

      167.70

   1,458,822

    1,676,832

    1,978,692

   1,609,752

    1,827,762

    2,129,622

 홍콩

        8,599

         9,899

       11,599

         9,499

       10,799

       12,499

      152.71

   1,313,153

    1,511,676

    1,771,283

   1,450,592

    1,649,115

    1,908,722

 싱가포르

        1,649

         1,889

         2,199

         1,799

         2,039

         2,349

      866.66

   1,429,122

    1,637,121

    1,905,785

   1,559,121

    1,767,120

    2,035,784

 대만

      35,900

       41,400

       48,400

       39,900

       45,400

       52,400

       38.85

   1,394,715

    1,608,390

    1,880,340

   1,550,115

    1,763,790

    2,035,740

 호주

        1,749

         1,999

         2,349

         1,899

         2,149

         2,499

      807.44

   1,412,213

    1,614,073

    1,896,677

   1,533,329

    1,735,189

    2,017,793

 영국

        1,049

         1,199

         1,399

         1,149

         1,299

         1,499

   1,463.00

   1,534,687

    1,754,137

    2,046,737

   1,680,987

    1,900,437

    2,193,037

 독일

        1,149

         1,319

         1,549

         1,249

         1,419

         1,649

   1,313.05

   1,508,694

    1,731,913

    2,033,914

   1,639,999

    1,863,218

    2,165,219

 프랑스

        1,159

         1,329

         1,559

         1,259

         1,429

         1,659

   1,313.05

   1,521,825

    1,745,043

    2,047,045

   1,653,130

    1,876,348

    2,178,350

 미국

          999

         1,149

         1,349

         1,099

         1,249

         1,449

   1,197.90

   1,196,702

    1,376,387

    1,615,967

   1,316,492

    1,496,177

    1,735,757

 캐나다

        1,379

         1,589

         1,859

         1,519

         1,729

         1,999

      899.70

   1,240,686

    1,429,623

    1,672,542

   1,366,644

    1,555,581

    1,798,500


반응형
반응형

결혼 준비과정 가운데 피해갈 수 없는게 바로 상견례 입니다. 

어쩌면? 첫번째 위기일수도있는 순간 ㅎㅎ

일단 면접 이상의 뻘쭘한 순간이 있을거고..
혹여나 실수할까 조마조마하기도 하고..

돌이켜보니 그럼에도 필자는 나름 스무스?하게 끝난것 같아 감사했습니다. 

그래서 경험을 통해 느낀 상견례 주의 사항과 팁을 간단히 정리해봤습니다. 

 

상견례는 주변을 보니 예식장, 예식날짜를 어느정도 잡아 놓고 본격적인 준비를 하기 전에 만나는게 일반적인거 같습니다. 뭐 어떤 커플은 상견례 날 날짜를 정했다고도 하는데, 아무래도 자녀들에게 결혼식 준비등을 대부분 맡기기 때문에 자녀들이 스스로 정해서 말하는게 요새 트랜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도 예식장과 식 날짜를 정하고 난 후에 상견례를 진행했습니다. 

 

 

먼저 중요한건 상견례 장소 선정. 
대부분은 노멀하게 한정식을 갑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구분된 방이 있는 곳이면 무조건 ok 일것 같은데..(ex 한정식, 일식, 고급 고기집? 등등)
그럼에도 전통적?으로 한정식집에서 많이들 한다. 한정식은 요리를 차례대로 주고 일반적으로 다 먹었을때 배가 부를정도이기 때문에 시간을 어느정도 예상해서 맞추기가 괜찮기 때문입니다. 사실 시간이 예상보다 길어지는건.. 좋지 않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너무 비싼곳에서 할 필요가 있을까 싶습니다. 맛이 전혀 기억이 안나기 때문...에

지역은 양가 어르신이 사는 지역의 중간 지점정도가 무난합니다. 

양가 어르신을 모두 잘 알 수 있는 사람은 커플 당사자들 뿐입니다. 그렇기에 가능한 서로 기본정보는 미리 파악하는게 좋습니다. 예를들어 부모님의 재혼.. 자녀 취업 상태 등등.. 민감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런 이야기는 애초에 피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합니다. 


여기서 또 대화를 지속해나갈 공통 주제를 찾는게 좋은데... 필자의 상견례장에서는 귀농 이었습니다..^^;
양가 어르신들이 귀농 이야기만 거의 20분 하신듯..
사실 이렇게 풀리면 크게 걱정할 건  없습니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미리 부모님께 상대 예신, 예랑 칭찬을 해달라고 하는것두 좋습니다..^^
평소에 어떻게 해줘서 고맙다, 선물 고마웠다, 등등
자연스럽게 상대 부모님들도 기분이 좋아질것이구.. 분위기를 좋게 이끌어 갈 수 있습니다. 

요새 아무래도 대부분 결혼을 준비하는 커플들이 알아서 준비하는 분위기이기에
좀 피해야 될 이야기는..아무래도 돈?이야기가 아닐까 싶다.
처음 공식적으로 만나는 자리인데.. 괜히 기분이 안좋아 질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지나친 자랑도 금물입니다. 괜히 허세를 부린다거나 등등 이야기는 좋은 분위기를 해칠수있습니다. 

상견례 식사 후에는 까페에서 간단히 커피 한잔? 
아니면 후식을 제공해준다면 식당에서 주는 커피를 한잔 하곤 합니다. 
이 때 간단히 떡케익 등등 먹을 수 있는 간식이 있으면 좋다. 사전에 미리 알아보고 사가는 센스가 있으면 좋습니다. 

그리고 마무리하고 서로 집에 갈 미리 서로 이야기해서 간단한 선물세트를 구입하는것도 좋은 생각입니다. 
필자의 경우 원래 부모님들이 좋아하시던 차 세트를 간단히 포장해서 서로 부모님께 드렸는데 아주 만족해하셨습니다. 
그렇기에 둘 모두가 상의해서 각각 가족 어르신들에게 간단한 선물을 하나씩 준비하는 것도 좋습니다. 
(차, 돈을 좀 쓴다면 홍삼? 정도)

마지막으로는 각자 부모님들을 모시고 돌아가는게 좋습니다. 대화 내용 정리후 
혹시나 생긴 오해를. 잘 설명해주는 시간을 가능한 빨리 가지는게 좋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