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초 커피 브루잉 과정 수업과 실습해본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집에서도 간단하게 드립커피를 마실수 있게되서 기쁘네요 ㅎㅎ


입문 강의에서 주로 괜찮은 제품들을 설명해주는 시간이었습니다. 

필요한건 드리퍼, 여과지, 드립서버, 포트, 핸드밀 정도. 여기에 온도계나 계량스푼, 저울은 옵션!

아래가 제가 사용하는 세트입니다. 


아키라 A12 마이바흐 핸드밀

칼리타 102 도자기 드립퍼

칼리타 드립서버

폰타나 드립포트




드립커피는 사람의 손으로 직접 물을 조절해 가면서 추출하며, 그에 따라 기본 요소 - 물맛, 물의 온도, 커피를 간 정도, 필터의 종류, 물을 어떤 속도로 어느 정도 어떻게 부어 커피를 우리는가에 커피맛이 좌우된다 합니다.


아래가 칼리타 드리퍼의 특징이 보이는 사진입니다. 

칼리타 드리퍼는 구멍이 3개. 커피가 추출 될 때 물에 잠기는 시간이 길어, 과소 추출위험이 줄어들게된다.

그렇기에 초보자가 사용하기에 좋은 드리퍼. 크기는 1,2인용이면 충분, 

재질은 플라스틱, 도자기 등등이 있으나 플라스틱보다는 도자기가 아무래도 더 좋다. 기본적으로 예열이 필요하지만 도자기는 열을 상대적으로 덜 받기 때문에 예열이 더 중요하다. 브론즈가 그래서 고급이라고한다. 열을 잘받아서..(허나 관리가 어려움 물을 조심해야되기에)


그리고 유명한게 하리오 드리퍼입니다. 하리오는 큰 구멍 하나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커피의 향과 산미를 즐길경우 하리오를 사용하고 깊고 진한 커피맛을 좋아하면 칼리타라고 하는데, 칼리타를 이용해서 일부러 조금 두꺼운 물줄기로 의도적으로 과소 추출을 하며 벨런스를 유지한다고 하는데..

이건 고수의 영역인듯..ㅎㅎ



드립서버가 있으면 커피 내리는 양을 볼 수 있어서 편한데, 계량컵?정도도 충분하다. 저는 주로 두잔을 내리기 때문에 이정도 크기의 드립서버면 충분할것 같아서 구입하였습니다. 



최대한 비슷한 맛을 내기위해서 조절해야될게 원두의 양이라고 합니다. 

원두 20g에 물을 추가해서 두 잔을 마시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한잔에 원두 20 g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아래가 바로 10g.

이렇게 두번 원두를 핸드밀에 넣어줍니다. 




원두를 가는건 분쇄기가 있으면 좋지만 아무래도 고가이기 때문에 집에서 소소하게 드립하려면 핸드밀을 추천. 

저는 아키라 마이바흐 핸드밀을 쓰고있습니다.  한번 갈은 원두는 보관을 오래할 수 없기 때문에 마시기전에 갈아서 먹는걸 추천합니다.


여과지는 아래처럼 접어줍니다. 빗금으로 표시되어있는데 각각 반대방향으로 접어주고

아래부분을 살짝 찝어주면 드립퍼에 딱 맞도록 되어있습니다. 




드립포트는 끝이 좁으면 됩니다. 즉, 가는 물줄기만 나오면 되는데 재질, 디자인, 브랜드에 따라서 가격은 천차만별.

입문자는 간단히 스테인래스재질에 씻기 편해보이는걸로 구입하면 됩니다.  

동으로 만든 드립포트가 물 온도 유지에 좋다고해서 인기가 있으나 무지 비싸고.. 관리도 어렵다


사이즈는 1.2리터 사이즈를 추천.

너무작으면 오히려 다루기 어려운 느낌. 요새는 드립포트가 가는 물줄기가 나올 수 있게끔 만들어진것도 나오는데 (ex 발뮤다)

아주 편하다고 한다. 발뮤다는 가격이 조금 나가지만 요새는 싼것도 많다. 


온도계도 있으면 좋으나 나중에 구입해도 좋다합니다. 가장 맛있는 커피온도가 92도.

참고로 전기포트로 물을 끓이고 포트에 물을 세번정도 행구면 그 온도가 된다고 합니다. 

어떤분은 끓는물의 기포가 가라앉을 즘이라고 하는데 찜찜해서 위에 방법을 사용합니다. 


아래와 같이 여과지를 올려놓고 뜨거운물을 부어줍니다. 이과정을 통해서 드립서버와 드리퍼를 예열해주고

종이필터향을 날려주게 됩니다. 그리고 내려간 물은 버려줘야 됩니다.



동시에 마실 컵도 예열을 해줍니다. 커피가 갑자기 식으면 맛도 금방변하기 때문입니다. 커피를 컵으로 옮길때 아래 물은 버려주면 됩니다. 




갈은 원두를 평평하게 되도록 여과지위에 올려줍니다. 




물 45g정도로 얇은 물줄기로 가운데 부분부터 골고루 부워준다고생각하시면 됩니다. 

이과정을 뜸들인다, baking 이라고 표현합니다. 물길을 만들어 주는 과정이라 보시면됩니다. 드리퍼의 구멍 3개에서 모두 나오고 있다면 

뜸이 잘 들였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제 일차 추출을합니다. 물 100g정도를 가는 물줄기로 안에서 밖으로 천천히 돌리며 붓습니다. 

가운데를 중점적으로 물을 부어주는게 중요한데 아무래도 가장 두꺼운 부분이기에 물이 잘 빠질수 있도록 해줘야 합니다. 




이렇게 2,3차 추출을 하게됩니다.

3차는 빠르게 내리기 위해서 조금 두꺼운 물줄기로 내려줍니다. 





이제 맛있는 드립커피 드세요 ^^

반응형
반응형


레고 10182 카피모델 레핀 15001입니다. 


중국 친구가 선물해준 레핀.

다행스럽게도 

오래된 모듈러라그런지 건물안은 텅텅 비어있습니다.

지금 모듈러들과 비교하면 좀 많이 당황스러운 수준입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장 이쁜 모듈러중의 하나지요 ㅎㅎ


1층입니다. 정품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저 문위에 있는 고무가 좀 이상합니다...잘 휘지도 않고.. 이상하게 긴거같아요.

정품은 이쁘게 동그랗게 잘 돌아가게끔???아무튼 깔끔하게 나오는데 저건 좀 어설픕니다..ㅠ

그리고 하얀 블럭이 잘 들어가지 않아서 애먹었네요...저건 본드로 붙혀야되나 고민이 많습니다.

아직 떨어지진 않았으나 불안한 부분입니다.




2층은 무난무난한 층입니다. 



천장까지 다 완성시켰습니다, 

청소하는 피규어도 위로 올려봤습니다 ㅎㅎ




역시나 모듈러들은 모아놓기만해도 포스가 엄청납니다. 

레고들과 같이 놓아도 위화감(?)이 전혀업네요 ^^



다음번엔 코너형말고 한개더 입양을 해야겠습니다. 

슬슬 어떤 디오라마로 꾸밀지 좀 고민을 해봐야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중국인 친구가 선물로 준 레핀. ^^;

만들면서 느낀점...

손이 아프다. 아무래도 블럭크기가 미세하게 다르기도 하고 그래서인지 조립할때 손이 아프다..ㅠㅠ

바닥이 뜬다. 어떤 분들은 바닥만 정품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나도 진지하게 고민중.. 약 3mm정도 떴는데 뭐 우선은 그냥 두기로 했다.

그래도 다행인건 번호로 구분이 되어있어서. (1,2,3 번 봉지) 

부품찾기는 수월했다. 어떤 레핀은 아애 구분이 안되있다고 했는데.. 백화점은 제대로 되어있었다.

간혹 부품이 없는 경우가 있다고 했는데 다행스럽게도 모두 잘 있었고.

레고와는 다르게 여분? 부품이 거의 안남는다. 


1층모습이다. 

아래 shop 표시 부분은 고무 막대기에 조립을 하는건데. 저 막대기가 좀 이상하다. 약간 더 긴거같다

자르면 근데 덜 휠거같아서 무서워서 가만히 두었다. 그래서 조오금 어설픈거 같은데.

그냥 통과..ㅎㅎ

깨알같은 에스컬레이터와 탈의실에서 감동받았다..ㅎㅎ






3층은 헬스용품을 파는곳. 

샹들리에 간지. 



옥상까지 마무리.

유리 청소하는분도 실을 어떻게..만들까 고민이 많았다.

길이가 좀 짧은거 같은 느낌. ㅎㅎ 저건 뭐 근데 집에있는 실로도 만들수 있을것같아서 우선 지금은 그대로 두기로했다.

깨알같이 버즈 출연시킴!



다른 정품레고들과 놓았을때 전혀 위화감이 없다. 단종된 모듈러는 하나같이 이쁜것 같다 진심.





반응형
반응형

일등급 그랑 크뤼 - 1855년 공식 보르도 포도주 분류법

총 5개의 와인이 있다. 


샤또 무통 로쉴드 Mouton Rothschild - 레이블이 다 다른 와인 - 


아티스트들과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서 최고급 와인 브랜딩에 성공하였다. 피카소 샤갈 달리등 세계적 거장들이 그려 명화 컬렉션이라고 불림.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이 연합군의 승리로 끝나자 평화를 축하하는 의미에서 처칠 수상의 승리의 브이(V)자를 활용한 필립 줄리앙의 작품을 시작으로, 해마다 살바도르 달리(1958년), 호안 미로(1969년), 마르크 샤갈(1970년), 바실리 칸딘스키(1971년), 파블로 피카소(1973년), 앤디 워홀(1975년), 키스 해링(1988년) 등 이름만 들어도 어마어마한 세계 유명 예술가들이 로쉴드 와인 라벨 작업에 참여하였다


이우환 화백도 그린 그림이 있음. (2013년 빈티지)

여백의 미가 간지로 느껴진다..



그로인해서일까? 2등급에서 1등급으로 승격한 유일무이한 와인. 마케팅의 교과서가 되지않을까 싶다 


까베르네 쇼비뇽89% + 메를로7% + 까베르네 프랑 4% 배합으로 까베르네 쇼비뇽이 강해서 조금 빡센? 와인이라고 한다. 




샤또 라피트 로쉴드 - Lafite Rothschild

까베르네 쇼비뇽70% + 메를로15% + 까베르네 프랑 15% 을 블랜딩한 와인 



샤또 라뚜르 Latour - 성공한 남자들의 와인 

이건희 회장이 가장 좋아했다는 와인..

카베르네 쇼비뇽 포도에 메를로 카베르네 프랑, 쁘띠 베르도를 블랜딩 함.

세컨드 와인 :  레 포르 드 라뚜르( Les Forts de Latour)


1990년, 1995년, 1996년, 2000년, 2003년, 2005년 이 좋은 빈티지고 1961, 1982 가 최고의 빈티지


샤또 마고 (chateau margaux)  

영부인에게 대접해주는 와인

까베르네 75% 메를로 20% 프랑 5% 쁘띠 베르도 5% 

세컨드 와인 - 빠비용 루즈 뒤 샤또 마고 : Pavillon Rouge du Chateau Margaux


샤또 오브리옹 Haut-Brion- 다른 4개와 다르게 유일하게 그라베 지역에서 만든 와인 . 나머지는 모두 메독지역에서 만든다 

까베르네 45% 메를로 37% 까베르네 프랑 18% /대부분 와인이 까베르네 쇼비뇽을 70이상 사용하지만 - 그래서 부드럽다는 이야기가있다. 


좋은빈티지 1989 1996 2000 2005 2009

반응형
반응형


친구가 중국에서 선물로 사준 샤오미 전동 면도기!

샤오미 미지아 면도기라고도 합니다. (모델명은 MJTXD01SKS)


케이스는 다음과 같이 약간 애플?스타일의 하얀 박스로 되어있습니다.





실물 입니다. 중국어 설명이라 쉽지만..^^;




이렇게 모터부분과 칼망 부분은 손쉽게 분리가 가능합니다.

가볍게 톡 때어내고 난 이후에 물로 씻어주고 말리면 세척은 끝!

방수도 IPX 7 전체방수이기 때문에 물, 셰이빙 젤 등이 있는 상태에서도 면도가 가능합니다.

물론 충전 중에는 물에 닿지 않도록 해야 됩니다.

3중날에 2중 절삭 구조여서 돌리면서 면도를 하니 턱 인중 쪽도 면도기 밀착이 쉬워서 깔끔하게 면도가 되는 편입니다.

타사 브랜드는 10만원선으로 알고있는데 반값도 안되는 가격으로 이정도 면도기면 가성비로는 최고인것 같다. 




여행중에 혹시나 동작 할 수도 있기 때문에 lock를 걸 수 있는데요.

위에 버튼을 5초정도 꾹 누르면 아래와 같이 자물쇠 모양에 불이 표시가 되는데 이러면 버튼을 눌러도 면도기가 동작하지 않습니다.





다시 사용하려면 또 5초정도 꾹 누르면 동작이 됩니다. 위에 불은 고속 모드라는 뜻입니다.





모터가 도는중에 2초정도 꾹 누르게 되면 저속모드로 바뀌는데 그러면 아래와 같이 불이 꺼지게 됩니다.

또 2초정도 꾹 누르면 고속 모드로 전환됩니다. 



추가 구성품입니다. 빗같이 면도기를 청소하는 용품과 충전기입니다.

USB 포트로 충전이 가능합니다. 2시간 충전으로 연속으로 60분 동작 가능합니다. 

그리고 5분 쾌속 충전을 지원하는데 5분 충전후 2분정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아래와 같이 간단한 설명서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서도 같이 있으나.. 중국어라 이해가 어렵....

제거 후 물로 씻어도 무방하다 정도로 이해하시면 될거같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