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랜섬웨어 감염은 일반적으로 실행 파일, 압축 파일, 이미지 등을 첨부한 이메일을 통해 이뤄집니다. 메일의 첨부파일이나 기타 파일을 실행하면 악성코드가 시스템에 침입하게 되는 것이지요. 또한 일부 웹사이트 상에도 악성코드가 심어져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출처가 불분명한 사이트는 접속하지 않는것이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단순히 접속만 했다해도 사용자가 이를 알지 못한 상태로 악성코드에 감염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감염은 바로 나타나지는 않고, 시스템이나 데이터를 잠그는 과정이 완료될 때까지 악성코드가 은밀하게 동작합니다. 이후 대화상자가 나타나, 사용자의 데이터는 잠겨졌으며 이를 풀려면 비용을 지불하라고 알려줍니다. 이 과정까지 오면 어떠한 방법을 쓰더라도 너무 늦어버린 상태입니다.

암호화 실행 파일은 암호화가 완려되거나, 컴퓨터 안의 백신 프로그램과 충돌되거나, 컴퓨터 재부팅이후에 주로 사라지게 되어있어서 암호화가 안 된 파일은 추가적으로 진행되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혹시나 모를 추가 감염을 생각해서라도 포멧하는것이 좋습니다. 

아래에는 랜섬웨어 종류를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 암호화 랜섬웨어

암호화 랜섬웨어는 개인의 파일과 폴더들(스프레드 시트, 사진, 동영상,음악파일 등)을 암호화합니다.

암호화가 되면 원본 파일들은 없어지고, 실행 할 수없는 이상한 형태의 파일로 변환이 되어있고. 감염파일이 있던 폴더에는 비용지불에 대한 설명이 있는 파일이 있습니다. 몇몇 랜섬웨어는 화면 잠금 기능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감염만 되어있을 뿐 다른 기능은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됩니다. 



  • 화면 잠금 랜섬웨어 — WinLocker

이 랜섬웨어는 파일을 변형시키는게 아니라 그냥 컴퓨터의 화면을 잠그고 비용을 요구합니다.

다음과 같은 창을 부팅 완료된 이후에 띄워서 추가적인 작업을 할 수 없게 만듭니다. 


  • 마스터 부트 레코드(MBR) 랜섬웨어

마스터 부트 레코드(MBR)는 운영체계를 부팅하는데 사용되는 하드드라이브의 일부분입니다. 컴퓨터를 실행하자마자 다음과 같은 화면을 띠우게 됩니다. 이 랜섬웨어는 개인 컴퓨터의 MBR 을 변형시켜 부팅이 되지 않도록 하게합니다. 

  • 웹서버 암호화 랜섬웨어

이 랜섬웨어는 웹서버를 타겟으로 하고 그 곳에 저장된 파일들을 암호화합니다. 

자료 관리 시스템 내 알려진 취약점들이 랜섬웨어가 웹 서비스에 침투하는 통로로 자주 사용됩니다.

  • 모바일 기기 랜섬웨어(안드로이드)

대부분의 안드로이드 모바일 기기들은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 방식을 통해 감염될 수 있습니다.

어도프, 포토샵 등 실제 이름과 같은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파일에 있을수도 있으니 다운로드는 정식적인 root에서만 하는것이 좋습니다. 

아래 링크를 따라가시면 랜섬웨어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랜섬 웨어 예방법 클릭!

반응형
반응형

얼마전 집들이를 하고 많은 친구들이 다녀갔었는데


그중에 기억이 남는 선물 몇 가지를 포스팅해보려고합니다. 

집들이 선물에 고민이 많으신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사실 신혼부부 선물이 더 맞을거 같긴 합니다.


이제 휴지두루마리는 그만!!!


1. 탄산수 제조기


사실 몇 년전 강남 한 백화점에서 몇백만원하던 탄산수 제조기가 생각났는데..

요새는 이렇게 나름 저렴한 가격에 많이 출시된것 같습니다. 


친구가 사준건 소다스트림 탄산수 제조기 입니다. 


출처 : 소다스트림 홈페이지


이중에 가장 저렴한 모델이지만 다른것과 큰 차이를 못느끼고있습니다.(안써봐서 그럴수도...)


기본으로 제공해주는 실린더 한개로 대략 60L정도의 탄산수를 제작가능하다고 합니다. 

항상 여기다가 얼음넣고 레몬청 넣어서 먹고있습니다 ㅎㅎ


2. 레고


조금 비싸지만 이정도로 이쁘면서 사랑받을 데코 아이템은 드문거 같습니다.

같이 이거 만들면서 즐겁게 주말을 보냈네요 ^^

티비 옆 자리를 장식하고 있는 래고입니다. 




3. 토스트기 (토스터)


요샌 이쁘고 실용적인 토스트기가 많은것 같습니다.

그 중 제 친구들이 사온건 스메그 (SMEG) 토스터 입니다. 

이탈리아 특유의 깔끔한 디자인으로 유명합니다.

원래는 냉장고로 맨 처음 알게 되었는데 이것저것 다양한 생활가전 아이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기포트나 커피머신 등등..

색깔은 여러종류가 있습니다. 개인적으론 하늘색이랑 분홍색이 잘뽑힌거 같습니다.

출처: 스메그코리아


이 외에도 영양제나 커피머신 있는 집에는 네스프레소 캡슐 같은 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건 축하해주는 마음이 포함되어 있다면 모두가 의미가 있을거같습니다.

이상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가끔 사이트를 돌아다니다보면 한국에서 접속못하는 사이트라던가 외국에서 한국에 접속을 못하게하는 사이트가 종종있습니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이 우회 접속 앱을 사용하면 크롬으로 우회 접속이 가능합니다. 

간단히 앱을 설치하면 되는것이니깐 모두가 쉽게 하실 수 있습니다. 



먼저 크롬에 접속하십니다. 

왼쪽 상단을 살펴보시면 다음과 같은 앱 버튼이 있습니다 이걸 클릭하세요








클릭하고 들어가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웹스토어를 클릭하세요.


크롬 웹스토어 화면입니다. 여기서 사용하고 싶으신 여러가지 앱들을 추가하시면 크롬 브라우저를 더 풍성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browsec  이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할 것입니다.

검색하는 곳에 browsec 이라고 입력하십니다. 






다음과 같이 확장 프로그램 부분에 browsec 이 맨 위에 나타납니다.

여기서 간단하게 CHROME에 추가를 누르시면 설치가 됩니다. 

용량도 아주 적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설치하시면 오른쪽 위에 지구본 모양의 창이 생깁니다.

이 창을 클릭하시면 다음과 같이 프로그램이 실행이 됩니다.

여기서 change 버튼을 누르셔서 나라를 변경하실 수 있고

아래 on/off 버튼을 이용하셔서 프로그램을 키고 끄고 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간단하게 크롬 브라우저를 이용해서 우회 접속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구글에서 검색결과를 클릭했을때 구글 창에서 검색결과로 이동되는 현상이 있습니다.


사실 이전에는 몰랐던 현상인데.. 포멧하고 크롬을 깔았는데 이전에는 몰랐던 불편한게 발견되었습니다.


구글에서 자료 검색하고 사이트를 클릭을 하면 구글 창이 없어지면서 그 사이트로 이동이 되는 현상인데요


새창으로 안열리고 검색을 다시하려면 뒤로가기 버튼을 누르던가 또 구글 사이트에 들어가는 번거로움..


찾아보니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이 되네요


먼저 설정에 들어가야 합니다


크롬 실행하고 오른쪽 아래부분을 보시면 설정이란 곳이있습니다.


설정 클릭하시고 검색설정에 들어가주세요




그리고 아래로 내려보시면 검색결과 여는 창이라는 항목이 있는데 거기서

선택한 검색결과를 새 브라우저 창에서 열기에 check 하시면 됩니다.

간단하지요??



반응형
반응형

책속의 나온 단어들로 트랜드를 알 수 있는 구글 엔그램 뷰어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구글 엔그램 뷰어는 구글 북스 라이브러리에 디지털화 되어있는 책 (약 천만권 이상) 을 검색해주는 뷰어입니다.


구글은 세상에 지금껏 존재한 책이 1억권이 넘는다고 생각하고있는데 그 책들을 전부 스캔해서 디지털화하겠다는 계획을 이전에도 발표했었습니다.

처음에는 말도안된다 생각했지만 지금 엔그램 뷰어를 보면 가능하겠다 싶네요 ㅎㅎ


사이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글 앤그램 바로가기


사이트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어를 검색해보면 이 단어가 영어로 된 책들에서 얼마나 자주 등장했는가 하는 빈도를 보여주는 그래프를 보여줍니다

아쉽게도 한국어 검색은 안됩니다. 그리고 아마도 저작권 문제 때문에 이렇게 단어 빈도 검색밖에 안되는 것 같습니다. 

조금 아쉽지만 그래도 이렇게 trend를 알 수 있는 강력한 툴이 있는건 참 감사한 일입니다. 

* 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검색도 가능합니다. 다음은 hope to를 검색한 것인데 hope to 뒤에 붙는 단어 중 인기있었던 것들을 순서대로 뽑아줍니다.

추가적인 활용법은 아래 링크를 보시면 도움이 되실겁니다.

엔그램에서 자료를 모아서 많은 논문이 나오고 있는것 같네요. 구글의 영향력은 대단합니다.

낱말의 생성과 소멸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