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더 리치에서 액면분할이 자동으로 적용되지 않는다. 구글을 메뉴얼로 제대로 반영해주니 정상으로 돌아왔다..ㅎ)

매수 : AAPL 1ea, MSFT 1ea, IEF 1ea, PG 1ea, SBUX 1ea, JPM 1ea, Nu 20ea

매도 : CCL 전량 매도

 

월급날이었어서. 폭풍 매수하였다. ㅎㅎ 환율이 부담스럽지만, 

강달러에선 미국의 소비재 회사가 그렇게 좋지는 않다고 들었다. 최근에 CNBC에서 그래서 PG 등 실적을 걱정하는 의견이 있던데 글로벌 소비재는 아무래도.. 강달러이면 상대적으로 벌어오는 돈이 적을수밖에 없겠다 싶다.

그렇다면 한국 기업은 오히려 기회일걸로 보이는데. 

간단히 코스피와 환율 추세를 보면 아래와 같다. 당장 고환율은 유지될걸로 보이고..(금리가 쉽지않다) 

그로 인해 이득을볼 회사는 분명히 한국에 많다. 미리 자리잡아고싶다!! 

환율이 오르면 여지없이 코스피는 하락했다

 

CCL은 전량 손절했다. ㅜ 액면분할안하고 버티길 기대했는데 상황이 그렇지 않았다. CCL 은 여기서 이별하기로 ㅎ

분위기 좋다가 금요일에 좀 흔들렸는데, 스냅의 실적 발표로 인한거로 보인다. 덕분에 구글도 ㅠ

반응형
반응형

드디어 아이폰 유튜브에서도 PIP모드가 제공된다. (iOS15필요)

미국에 사는 경우, 무료 회원도 PIP모드가 가능한데 나머지는 유튜브 프리미엄 가입자만 사용 가능하다. 

애플에선 기본으로 제공하는 기능이어서 유료화가 쉽지 않을거 같았는데,, 아무튼 이렇게 진행되었다. 

 

사실.. 개인적으로 출근길에 영상을 백그라운드로 틀어놓고 버스타러 걸어가는데, 이상하게 백그라운드로 재생이 안되고 바탕화면에 계속 영상이 재생되어서.. 우연히 알아차렸다. 

 

PIP모드란, 한번에 앱 두 개를 동시에 볼 수 있는 분할 화면 기능이라고 보면된다. 즉, 카카오톡을 하면서 영상도 동시에 볼 수있는 모드. 

 

저는 폰에 자동으로 on 되어 있었어서 아무것도 하지않고 실행이 되었지만, 안되는 사람들도 있다그래서 키는 방법을 찾아봤습니다. 

 

아이폰 설정에서 아래와 같이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설정 - 일반 - 화면 속 화면 - 화면 속 화면 자동 시작

 

유튜브 앱에서 아래와 같이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설정 - 일반 - PIP 모드 

 

사실 PIP 모드로 들어가는게 조금 불편했다. 백그라운드 재생 or PIP 모드를 손으로 화면을 옮길때 시간을 비교해서 둘중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게 좋을거 같은데 그러지 않고 무조건 PIP 모드로 실행되어서..불편해서 우선 꺼놓은 상태다. 그럼에도 안드로이드에서는 잘 쓰던 기능이었다는데 이제서라도 되는거에 감사해야되나?! 

반응형
반응형

 

매수, 매도 없음. 

배당 : IEF $5.75, IEI $1.79, IIPR $7.44

 

 기계적으로 환전을 하고 매수해야되는데, 1300원 넘는 환율이 부담이 되는건 사실이다. 사실 한국인 입장에서는, 위기 상황에 미국에 투자한건 그나마 다행이다. 환율이 손실액을 어느정도 줄여주는 효과를 보이기 때문이다. 그도 그럴게 

스믈스믈 1325원인 환율. (아 학비 내야되는데 흐엉) 

 무역적자, 외화보유고 감소 등 한국 시장 자체의 체력이 많이 떨어지는것도 사실이다. 삼프로티비였나.. 엔화, 유로화도 떨어지고 있어서 특별히 걱정할 상황이 아니다 라는 말을 하던데..흠 그 둘과 비교하는게 말이나 되는 소린가 싶다. 물론 러시아 가스 상황들을 돌아보니 유럽도 많이 망가진건 사실이다만, 한국과 비교라..흠 ㅎㅎ 개인적으로는 1300까지는 예상 못했어서 한국 주식을 조금 매수하기 시작했는데, 힘든 상황이 생각이상으로 길게 지속될거같다. 금리도 그렇고 한국에 좋을게 없다. 그마나 호재라면 우리나라는 수출위주의 산업이고, 그렇다면 환율은 긍정적은 효과를 발휘할것이고, 돈을 버는 회사는 결국 투자자가 몰릴것이다 라는 것인데. 시간이 조금 걸릴듯...

 MS 실적발표가 있었다. 시장에서는 실망스러웠다곤 했지만, 내가 바라본건 배당증가이다. 

작년 2배 배당 상향(0.35 ->0.7)을 한 이후로 올해도 10%정도(0.7 -> 0.775) 상향했다. 물론 미미하지만 아직까지 성장동력이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안심이 들었다. 

 

미국 시장도 금요일 반등이 컸지만, 힘든 한주였구나. 이번주 월급은 뭘 사야되나~ 

반응형
반응형

매수 : NU 20ea, JPM 1ea, IEF 1ea

배당 : KO $20.57  JNK $9.62

 

 크게 올라가던 기름 값이 하락 추세로 전환하면서 조금 한숨돌려도될까? 싶은 한주였다.

집앞 주유소도 기름값이 아주 조금 떨어지긴했다.. 아직멀었지만..ㅎ

그리고 삼성전자가 그래도 괜찮은 실적을 발표하면서 전반적인 recession에 대한 우려가 조금 사라진 한 주 증시 시장이었다. 지금 삼성전자도 그렇고 중국 스마트폰 업체의 재고가 엄청나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 심리가 서버까지 간다면 반도체 업종은 정말 힘든 시간을 보내게 될거같다. 

 

미국 주식 이야기는 아니지만 일본에 큰 사건이 발생해서 한국 주식장이 어떻게 움직일지 지켜보는게 이번주 관전포인트인거같다. 

 

한달 추세로 보면 기름값이 그래도 떨어지고 있다.

 

반응형
반응형

 

매수 : KO 1ea, AAPL 1ea, IEF 1ea, NU 20ea

매도 : VNQ 5ea

배당 : GILD $11.17, VNQ $8.23

 

상반기가 끝났다. 배당은 $244.61, 매도로 $488.17 수익을 낸 상태이다. 하지만 portfolio yield는..^^;

생각보다 더 큰 인플레이션에 Reit ETF를 일부 매도 하였고, 기존에 모아오던 주식들을 매수했다. 

아직 월급받고 입금한 달러로 추가 매수를 진행안했는데, 조만간 비중맞춰서 모아오던 주식들을 기계적으로 매수할 계획이다. 

이런 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한국 주식은 중국과 비교해서 격차를 유지하고있는 수출 위주 회사를 매수 ( 달러환율!!) 이 필요하겠다.미국 포트는 길게 갈 녀석들은 그냥 매수후 잊는게 필요하겠고... 지금 환전하기엔 부담스러운게 사실이다. 

1300을 넘어서 달려간 경우는 IMF, 08금융위기 이후 없는걸로 보이는데..한국주식이 먼저 반등이 왔음 싶다.

일단 대출적고 수출로 돈 잘버는 회사 소팅이 필요한 상황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