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매수 : PLTR 1ea, AAPL 4ea, KO 2ea, CCL 5ea, PG 1ea, MS 2ea, MANU 3ea, IEF 2ea, IEI 1ea

매도 : UCO 1ea

 

배당증가 종목 : KO 0.42 -> 0.44  (4.7%) // GILD 0.71 -> 0.73 (2.8%)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인해 급등과 급락을 반복한 한주였다.

월급이 들어와서 조금 매수를 진행했는데...덕분에 이번주에 PF 평가액이 $40000 달성이 가능할까 했지만 실패 했다ㅎ

하루만 늦게샀어도..^^;

그래도 이런거에 크게 연연하지 않고 배당증가 종목에 꾸준히 매수를 진행하고있다. 

둘간의 전쟁으로 인해 유가 + 희토류등이 크게 폭등하고있고, 그로인해 물가안정도 쉽지않아보인다. 

일단 기름은 단기 고점이라 생각해 갖고있는 UCO 종목을 하나 매도했다. 코로나 중반부터 아주 조금 매수했던 기름 ETF인데 수익률이 쏠쏠해서 기분이 좋다. (대략 100% ㅎ)

환율도 1200선을 꾸준히 지키는 모습이어서 단기적으로 환전에는 부담이 가는 상황이지만, 쉽게 나아질 상황은 아닌걸로 보인다. 러시아에 대한 금융 제제로 인해서 중장기적으로 좋게보는 금융 섹터에 조금 안좋은 영향을 주고있지만, 오랜만에 MS도 추매했다. 작년에 배당을 2배 올리면서 큰 상승을 보여줬는데 올해 7월에는 어떻게 될지 확인해보고 가져갈지를 결정하면 될거같다. 

반응형
반응형

 

배당 : MS $8.92 PG $5.18

매수 : CCL 2ea, IEF 1ea, MS 1ea, PLTR1ea, AAPL 2ea

매도 : KOS 20ea

 

 

저세상가는 PLTR. 그렇다. 한국시장에 비해서 미국시장은 훨~~~씬 합리적이다. 작년이 버블의 시대였다면 올해는 옥석을 가리는 시대가 된거같다. 특히나 실적전망(가이던스)이 낮아지는 회사에는 가차없다. 

돌아보니 고용시장의 호황과 임금의 상승은 경제 상승의 초반부라고 배운기억이나는데, 지금이 딱 그렇지 않나?

연준이 말한적은 없지만 모 금융회사 대장은 6번 7번 금리를 인상할거같다고 계속 이야기하는데, 지금 시장에서 반응하는 금리 수준은 벌써 상당한 느낌이다. 그냥 이럴때일수록 내가생각하는 앞으로 좋아질 회사 + AAPL을 한주씩 매수하며 기다릴 생각이다. 돌아오는 주에 월급을 받으면 $40000 를 달성하게 되는구나 ^^...(떡락만 없다면)

반응형
반응형

 

 

매도 : KOS 20ea

배당 : IEF $2.85, IEI $0.9, JNK $8.28, AAPL $5.8

 

Re-opening 으로 좋았던 분위기가 전쟁이슈로 갑자기 크게 흔들리며 한주를 마무리했다.

덕분에 기름주 + 기름값이 폭등하고 나머지 지수는 일제히 큰폭하락하며 한주를 씁쓸하게 마무리했다.

다행스럽게도 포트에 기름주+ 기름 ETF를 들고있어서 소폭 오르기는 했으나, 

전쟁이 주는 아픔과 돈의 움직임은 씁쓸할수밖에없다. 

게다가 나는 기름주가 고점일거같아서 소폭 정리했는데..흠

당분간 기름은 슈팅할거같고 $100 세상을 진지하게 준비해야될거같다. 

 

내 포트중에서는 코카콜라(KO)가 실적 발표를 했다.

 

성장하는 회사의 전형적?이라 할 수 있는 재무재표다. 

그래도 Selling, general and administrative 비용이 매출 대비해서 크게 늘었는데.. 마케팅 비용 증가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현금흐름(영업으로 인한 현금흐름 증가를 보는게 중요!)이 양호하기에 괜찮은거같다. 

요새 주가가 많이올라, 배당주로서는 매력이 조금 떨어지는 상황이긴한데 (그리고 배당증가 발표 안한거같은데.. 기다려봐야겠다) 매출 성장률로 보면 매력적인 가격이 아닌가 싶다. 

반응형
반응형

 

매수 : UCO 1ea, IEF 1ea, KO 1ea, GOOGL 1ea

배당 : VZ 5.98

 

실적에 따라서 발작(?)하는 요즘 시장분위기. 

예전부터 유튜브의 영향력(a.k.a 유튜브 프리미엄) + 구글의 능력을 칭찬만 하면서 배당도 안주는 회사라 생각하고

매수하지 않았는데, 이번에도 실적이 터지는것을 보고 한 주도 안들고있는건 잘못된거라 생각되서 바로 매수 하였다.

20 to 1 split 하게되면 20주가 되겠지만 ^^

 

내가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Tom Lee 님의 추천은 다음과 같다. 일명 BEEFF

지금 내가 매수하는것도 인플레이션에 영향이 적은 튼튼한 회사 + 에너지 + 금융 + FAANG(여기서 나는 F는 빼고싶다. AMZN는 실적이 잘 나왔지만.. 한국에 살다보니 아마존 프라임의 영향이 얼마나 대단한지 모르겠다) 

 

이 인플레이션이 무사히 지나가야 내 PLTR 등이 날라가겠지..훨훨.. 

CNBC에서 캡쳐

반응형
반응형

액면분할 -> Stock Split, Share Split

한개를 20개로 분할한다 ->  20-for-1

 

Alphabet, Google’s parent company, Alphabet announced a share split. 

 

나는 왜 유튜버 프리미어도 구독하면서 + 출퇴근길마다 영어뉴스를 듣고 + 각종 경제 소식을 전해들으면서

+ 코빅, 뭉찬 등 하이라이트도 보면서 + NBA 하이라이트도 보면서 왜 이 주식을 안샀는가.

단지 나는 배당 안줘서 외면했는데 이정도면 그냥 배당안주고 잘 운영만 해주셔도 감사한 수준. 

주식 투자는 누군가의 시간을 사는 행위라고 하는데, 내가 잠자고 놀아도 회사는 일을 하고 돈을 버니깐? 

 

아이들이 티비를 안보고 유튜브로 검색을 한다는것도 듣고, 무엇보다 가장 쉬운 투자 방법은 주변을 바라보면서 기회를 찾는건데.. 

 

올해 매출.. 엄청난 숫자가 아닌가 매출 $257.64B (YoY 41%성장) 순이익 $76.03B (YoY 88.8%) 성장

 

 

나는 왜 줘도 못먹는가 ㅠ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