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배당 : IEF $2.92 IEI $0.94 JNK $8.49 MSFT $8.96 (2022년 누적배당금 : $76.3)

 

전쟁으로 인해 모든 포트가 꼬이는 느낌이다. 내가 가진 기름주식들은 생각보다 너무 올랐고 나머지는 생각보다 너무 빠진느낌.. 다음주 즘에 조금 남은 현금으로 포트 조정을 해보려한다. 

기름이 오르면 전방면으로 압박이 들어간다. 자동차 휘발유 가격의 압박, 물류가격의 압박 등은 전세계 모든 사람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러시아 자원은 유럽쪽에 고대로 압박이 가는 상황이고.. 전세계는 연결되어있다. 그대로 모두가 힘든 상황. 버핏형님은 기름회사를 매수하셨고.. 누울자리를 봐야될 시점이다. 

 

3/9 Apple의 이벤트가 있었다. 

자신만의 생태계에 최적화된 반도체 설계로 효율과 전력소비를 최적화 하고있는 이 회사는 경쟁사가 없어보인다. 

똑똑한 사람은 경쟁을 하지 않는다고 한다. 

iPad Air에도 M1칩이 들어가서 어지간한 작업은 최적으로 가능할걸로 보인다. Air인데.. 

아직까지 데스크탑 점유율은 높지는 않지만, 스마트폰과의 connectivity를 이용하고자 더 많은 사람들이 들어올걸로 보이고, 점점 대적할 상대가 없는 회사가 되어가고있다. 특히 효율성을 이용한 전문가 프로그램 (동영상, 음원녹음 등)으로 확장하는 모습이 보인다. Mac Studio+Display 등등// 물론 윈도우가 만들어낸 tool을 대체하면서 모든 회사가 Mac을 사용할 확률은 아직까지는 적지만, 소위말해 있어보이는 직군(디자이너?ㅋㅋ) 등은 충분히 대체해볼만하다. 

근데 그 회사가 지금 바겐세일중.. 전쟁때문에? 

 

 

반응형
반응형

매수 : CCL 2ea, SBUX 1ea, PLTR 1ea, AAPL 1ea, EWS 3ea, UCO 1ea

매도 : IAU 5ea, UCO 2ea, KOS 50ea

배당입금 : SBUX $6.25

 

러시아 - 우크라이나로 인해 기름값이 고공행진 중이다. 

단기적으로는 고점 과열 구간이라 판단해서 갖고있던 UCO, KOS를 조금 매도하면서 수익 실현했고, 추가적으로 여러 종목들을 매수하였다. 얼렁 전쟁없는 평화가 찾아왔으면 좋겠다. SNS 를 좀 찾아보니 러시아쪽에서 고전중이라고는 하지만, 정확한 내용은 시시각각 바뀌니깐 큰 고민 안하고 길게 볼 종목들을 조금씩 매수하며 가려고 한다. 유가가 엄청 올라서 생기는 Inflation 압박과 시장심리간의 싸움이 계속 발생하는것 같고, 그래서 갖고있던 금융주들의 타격이 제법 상당하다. 

 

(그나저나 TheRich에 IIPR 갖고있던게 입력이 안되있었어서.. 4만은 이전에 넘긴했었다 ㅎ..물론 -26.35%중이지만 ㅋ)

 

반응형
반응형

 

매수 : PLTR 1ea, AAPL 4ea, KO 2ea, CCL 5ea, PG 1ea, MS 2ea, MANU 3ea, IEF 2ea, IEI 1ea

매도 : UCO 1ea

 

배당증가 종목 : KO 0.42 -> 0.44  (4.7%) // GILD 0.71 -> 0.73 (2.8%)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인해 급등과 급락을 반복한 한주였다.

월급이 들어와서 조금 매수를 진행했는데...덕분에 이번주에 PF 평가액이 $40000 달성이 가능할까 했지만 실패 했다ㅎ

하루만 늦게샀어도..^^;

그래도 이런거에 크게 연연하지 않고 배당증가 종목에 꾸준히 매수를 진행하고있다. 

둘간의 전쟁으로 인해 유가 + 희토류등이 크게 폭등하고있고, 그로인해 물가안정도 쉽지않아보인다. 

일단 기름은 단기 고점이라 생각해 갖고있는 UCO 종목을 하나 매도했다. 코로나 중반부터 아주 조금 매수했던 기름 ETF인데 수익률이 쏠쏠해서 기분이 좋다. (대략 100% ㅎ)

환율도 1200선을 꾸준히 지키는 모습이어서 단기적으로 환전에는 부담이 가는 상황이지만, 쉽게 나아질 상황은 아닌걸로 보인다. 러시아에 대한 금융 제제로 인해서 중장기적으로 좋게보는 금융 섹터에 조금 안좋은 영향을 주고있지만, 오랜만에 MS도 추매했다. 작년에 배당을 2배 올리면서 큰 상승을 보여줬는데 올해 7월에는 어떻게 될지 확인해보고 가져갈지를 결정하면 될거같다. 

반응형
반응형

 

배당 : MS $8.92 PG $5.18

매수 : CCL 2ea, IEF 1ea, MS 1ea, PLTR1ea, AAPL 2ea

매도 : KOS 20ea

 

 

저세상가는 PLTR. 그렇다. 한국시장에 비해서 미국시장은 훨~~~씬 합리적이다. 작년이 버블의 시대였다면 올해는 옥석을 가리는 시대가 된거같다. 특히나 실적전망(가이던스)이 낮아지는 회사에는 가차없다. 

돌아보니 고용시장의 호황과 임금의 상승은 경제 상승의 초반부라고 배운기억이나는데, 지금이 딱 그렇지 않나?

연준이 말한적은 없지만 모 금융회사 대장은 6번 7번 금리를 인상할거같다고 계속 이야기하는데, 지금 시장에서 반응하는 금리 수준은 벌써 상당한 느낌이다. 그냥 이럴때일수록 내가생각하는 앞으로 좋아질 회사 + AAPL을 한주씩 매수하며 기다릴 생각이다. 돌아오는 주에 월급을 받으면 $40000 를 달성하게 되는구나 ^^...(떡락만 없다면)

반응형
반응형

 

 

매도 : KOS 20ea

배당 : IEF $2.85, IEI $0.9, JNK $8.28, AAPL $5.8

 

Re-opening 으로 좋았던 분위기가 전쟁이슈로 갑자기 크게 흔들리며 한주를 마무리했다.

덕분에 기름주 + 기름값이 폭등하고 나머지 지수는 일제히 큰폭하락하며 한주를 씁쓸하게 마무리했다.

다행스럽게도 포트에 기름주+ 기름 ETF를 들고있어서 소폭 오르기는 했으나, 

전쟁이 주는 아픔과 돈의 움직임은 씁쓸할수밖에없다. 

게다가 나는 기름주가 고점일거같아서 소폭 정리했는데..흠

당분간 기름은 슈팅할거같고 $100 세상을 진지하게 준비해야될거같다. 

 

내 포트중에서는 코카콜라(KO)가 실적 발표를 했다.

 

성장하는 회사의 전형적?이라 할 수 있는 재무재표다. 

그래도 Selling, general and administrative 비용이 매출 대비해서 크게 늘었는데.. 마케팅 비용 증가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현금흐름(영업으로 인한 현금흐름 증가를 보는게 중요!)이 양호하기에 괜찮은거같다. 

요새 주가가 많이올라, 배당주로서는 매력이 조금 떨어지는 상황이긴한데 (그리고 배당증가 발표 안한거같은데.. 기다려봐야겠다) 매출 성장률로 보면 매력적인 가격이 아닌가 싶다. 

반응형
반응형

 

매수 : UCO 1ea, IEF 1ea, KO 1ea, GOOGL 1ea

배당 : VZ 5.98

 

실적에 따라서 발작(?)하는 요즘 시장분위기. 

예전부터 유튜브의 영향력(a.k.a 유튜브 프리미엄) + 구글의 능력을 칭찬만 하면서 배당도 안주는 회사라 생각하고

매수하지 않았는데, 이번에도 실적이 터지는것을 보고 한 주도 안들고있는건 잘못된거라 생각되서 바로 매수 하였다.

20 to 1 split 하게되면 20주가 되겠지만 ^^

 

내가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Tom Lee 님의 추천은 다음과 같다. 일명 BEEFF

지금 내가 매수하는것도 인플레이션에 영향이 적은 튼튼한 회사 + 에너지 + 금융 + FAANG(여기서 나는 F는 빼고싶다. AMZN는 실적이 잘 나왔지만.. 한국에 살다보니 아마존 프라임의 영향이 얼마나 대단한지 모르겠다) 

 

이 인플레이션이 무사히 지나가야 내 PLTR 등이 날라가겠지..훨훨.. 

CNBC에서 캡쳐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