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결론적으로 6세대 싸게 업어오는게 최고다

왜냐하면 큰 차이가 없다...ㅠㅠ

가격은 출고가기준으로 2만원 정도 소폭 상승. (환율의 영향으로 보인다)

요약본은 다음과 같다. (이하 왼쪽이 6세대, 오른쪽이 7세대)

디스플레이 크기만 소폭 커졌다. 

 

이제 좀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크기 증가로 무게가 좀더 늘어난 것 같다. 이건 뭐 pass

 

디스플레이는 7세대가 10.2인치로 전작보다 0.5인치 커짐
해상도는 6/7세대 동일함 (264 ppi)
라미네이팅, 반사방지코팅은 되어있지 않음.

6세대의 풀 sRGB 지원이 사라짐. (소폭 다운그래이드)

 

 

 

칩셋 동일,

 

 

베터리 동일

 

 

 

 

apple pencil 똑같이 1 세대만 , 스마트 키보드만 추가적으로 7세대 ipad에 사용 가능. (그냥 다른 키보드 쓰면된다..)

 

 

 

 

 

Ipad 7세대에 eSIM 지원이 되지만 한국에선 의미없다. 

 

 

통신관련엔, 기가 LTE 추가 - wifi 모델에서는 상관없는 스펙

 

 

 

 

결론적으로

업그레이드 - 스마트 키보드., 기가 LTE, esim
다운그레이드  - 디스플레이 sRGB X, 터치아이디 1세대로 하향. MS 오피스 무료 사용 불가 (10.1 인치 이하는 무료다)

 

그냥 6세대 중고 구하는게 합리적 소비가 아닐까 싶다..^^;

 

반응형
반응형

몇몇 나라별로 2019년형 MacBook Pro 13 inch 가격을 비교해봤습니다. 

표 보는 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MacBook Pro 13 inch 에서 가장 낮은 단계에서부터 하나씩 업글 비용을 표시했습니다.

기본

2.4GHz 쿼드 코어 8세대 Intel Core i5 프로세서

(최대 4.1GHz Turbo Boost)

8GB 2133MHz LPDDR3 메모리

256 GB

업글가능

2.8GHz 쿼드 코어 8세대 Intel Core i7 프로세서

(최대 4.7GHz Turbo Boost)

16GB 2133MHz LPDDR3 메모리

512 GB

1 TB

2 TB

 

최고사양은 CPU, Memory, 저장장치를 최고로 올렸을 때의 가격입니다. 

이전부터 맥북은 월드워런티 적용이 되기도 하기에 종종 해외에서 구입하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이번 버전도 해외에서 구입하는게 이익인지 알아 보았습니다. 

사실 요즘 환율이 조금 오른 상태여서 아쉽기는 하지만 미국 환율이 1140 정도면 해외에서 구입을 하는것도 괜찮아 보입니다. (1140 이면 한국보다 기본형기준 24만원 저렴) 하지만..^^ 지금 맥북프로 구입만을 위해서 해외에서 예약하고 구입하는건.. 궂이 해야되나 싶은 정도로 가격 차이가 미미한건 사실입니다. 그리고 유럽에선 맥북프로는 만지지도 마시길... 

 

 

나라

 기본가격

 CPU

 Memory

 storage

 Final Cut

 Logit Pro

 최고사양

한국

              1

    367,500

  245,000

     250,000

  369,000

  249,000

   4,402,500

   2,290,000

     750,000

   1,500,000

미국

        1,187

          300

        200

          200

        300

        200

        3,499

        1,799

          600

        1,200

   2,135,413

    356,100

  237,400

     237,400

  356,088

  237,388

   4,153,313

     712,200

   1,424,400

일본

        10.96

      33,000

    22,000

      22,000

    32,222

    22,037

     385,800

     198,800

      66,000

     132,000

   2,178,848

    361,680

  241,120

     241,120

  353,153

  241,526

   4,228,368

     723,360

   1,446,720

홍콩

       151.56

       2,340

      1,560

        1,500

      2,288

      1,588

      27,299

       14,399

        4,500

        9,000

   2,182,312

    354,650

  236,434

     227,340

  346,769

  240,677

   4,137,436

     682,020

   1,364,040

싱가포르

       865.28

          420

        280

          300

        449

        289

        5,099

        2,599

          900

        1,800

   2,248,863

    363,418

  242,278

     259,584

  388,493

  250,049

   4,412,063

     778,752

   1,557,504

프랑스

    1,333.29

          360

        240

          250

    329.99

    229.99

        4,099

        1,999

          750

        1,500

   2,665,247

    479,984

  319,990

     333,323

  439,972

  306,643

   5,465,156

     999,968

   1,999,935

 

 

반응형
반응형

이번 언팩 행사를 많은 매체에서 2011년 스티브 잡스 사망 이후 8년만의 극적인 대전환이라 평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월스트리트 저널은 10년래 애플이 보인 가장 큰 전략적 변화라고 하였습니다. 아마도 차이나쇼크로 대변되는 글로벌 시장의 패러다임의 일대 전환이라고 해야될까. 

출처 apple.com

 

애플의 지난해 전체 매출 2656억 달러에서 스트리밍 등 서비스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14% 수준으로 미미했습니다. (371억달러) 아마도 이 서비스 매출을 크게 확대시키기 위한 행보라고 보입니다. 뉴스와 동영상 스트리밍 플렛폼 그리고 게임까지. 

 

이중에서 유일하게 가격을 공개한건 애플 뉴스입니다. 월 9.99 달러. 애플이 제공하는 모든 잡지를 구독하면 연간 8000달러? 수준인데 월 9.99 달러로 아주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이야가합니다. 그리고 가족 계정에 공유가 가능하고 각 구성원들로 즐겨찾기와 개인 추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요새 또 보안이 민감한데 애플은 구독자들이 어떤 기사를 읽었는지 추척할 수 없고, 광고 업체들도 이 정보를 이용할 수 없다며 프라이버시 보호 정책을 다시한번 강조했습니다. 과연??

 

홈페이지에 공개된 컨텐츠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Business & Politics (TIME, The Atlantic The New Yorker)

Style & Beauty(Vogue,InStyle,ELLE)

Food(Bon Appétit,Food & Wine,Saveur)

Sports(Sports Illustrated,ESPN,Runner’s World)

Travel & Regional(Condé Nast Traveler,Travel + Leisure,Outside)

Entertainment(People,Vanity Fair,Entertainment Weekly)

Science & Tech(WIRED,National Geographic,Scientific American)

Online Publications(Vox,theSkimm,The Cut,Vulture)

++ WSJ, LA times

 

300개 이상의 메거진에 WSJ  LAtimes 등 뉴스 테크크런치, 복스 등 디지털 메체들을 제공합니다. 월스트리트 저널(WSJ)와는 수익공유를 50:50으로 한다는것으로 알려졌으며 아쉽게도 뉴욕타임즈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잡지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아주 환영할 서비스인것같다. 특히 아이패드가 더 각광받을 것 같다. 

 

내가 만약 메이저 뉴스업체라면 조금 꺼릴거 같긴하다. 결국 애플의 플렛폼으로 들어와서 기사를 보여준다는게 무언가 콧대높은 사람들은 쉽사리 용납하지 못할것같다. 그도 그럴게 뉴욕타임즈도 일주일에 1, 2 달러의 구독료를 받는거보니..애플에서 보여주게 되면 다들 애플 사용할듯.. 

하지만 애플은 수많은 스마트폰 사용자를 갖고있는 업체다보니 이런 플렛폼을 만들고 이끌 수 있는 파워가 있는것 같다. 실제로 나도 미국에 산다면 당연히 구독해보고 싶은 서비스다. 덩달아 패드 뽐뿌가....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지난밤 애플이 새롭게 나올 아이패드 관련해서 발표를 했습니다. 

그 기념으로 iPad mini 5세대와 iPad Air 3 세대의 환율을 고려한 가격을 알아보았습니다. 


A12를 탑재한 Mini일거라곤 아무도 생각을 못한거 같은데..

애플팬슬 1세대도 지원하고. 

그만큼 가성비가 괜찮을거 같은  pad가 출시될 예정입니다. 


출시국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은 아직 미정이지만 (전파인증..흑흑)

아마도 1,2차 사이가 되지않을까..조심스럽게 예상해봅니다. 


1차

네덜란드, 노르웨이, 뉴질랜드, 덴마크, 독일, 룩셈부르크, 미국, 벨기에,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아일렌드, 영국,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일본, 체코, 캐나다,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호주


2차

마카오 멕시코 중국


3차

그리스, 남아프리가공화국,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이스라엘, 인도, 콜롬비아, 태국, 터키등 일부 국가


한국 출시전에 어디서 사면 좋을까 싶어서 나라별로 가격을 조사해봤습니다. (Wifi 모델 기준)

2019 3/19 기준환율로 계산했습니다. 

일본, 홍콩, 대만, 호주, 미국, 캐나다가 좋아보입니다. 그 중 캐나다가 가장 저렴하네요. 작게는 몇만원이고 256G의 경우 10만원 약간 안되는 정도까지 차이가 납니다. 


 iPad Mini 5세대 

 iPad Air 3세대 

나라

 64 G 

 256 G 

 64 G 

 256 G 

 한국 

      499,000

      699,000

      629,000

      829,000

 일본 

        45,800

        62,800

        54,800

        71,800

       10.17

      465,786

      638,676

      557,316

      730,206

 중국 

         2,999

         4,199

         3,999

         5,199

     168.29

      504,702

      706,650

      672,992

      874,940

 홍콩 

         3,199

         4,299

         3,999

         5,099

     144.01

      460,688

      619,099

      575,896

      734,307

 싱가포르 

            599

            819

            749

            969

     836.91

      501,309

      685,429

      626,846

      810,966

 대만 

        12,900

        17,900

        16,900

        21,900

       36.70

      473,430

      656,930

      620,230

      803,730

 호주 

            599

            819

            779

            999

     802.37

      480,620

      657,141

      625,046

      801,568

 영국 

            399

            549

            479

            629

   1,503.11

      599,741

      825,207

      719,990

      945,456

 독일 

            449

            619

            549

            719

   1,283.57

      576,323

      794,530

      704,680

      922,887

 프랑스 

            459

            629

            569

            739

   1,283.57

      589,159

      807,366

      730,351

      948,558

 미국 

            399

            549

            499

            649

   1,130.50

      451,070

      620,645

      564,120

      733,695

 캐나다 

            529

            729

            649

            849

     849.07

      449,158

      618,972

      551,046

      720,860


반응형
반응형

heic  파일말고 jpg  파일로 사진을 저장하는 방법과 파일 변환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블로그에 아이폰으로 찍은 사진을 올리려고 컴퓨터로 옮겼는데 어느날부터인가 갑자기 사진이 HEIC라는 듣도보도 못한 파일로 저장되기 시작되었다. 


이건뭐다냐...

우선 검색을 해보기로했다. 




IOS11부터 생긴거라고 한다.

기존 산업 표준인 JPEG보다 용량이 50% 정도 감소된다는데 

변환해본 사진을 보니 그정도는 아니고 대충 30%수준인걸로 보인다. 아마도 사진의 복잡도라던가 Dynamic Range ..(어둡고 밝은 이미지가 많은?)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것으로 보인다. 


폰으로보는데는 문제가 없으나..

당장 내가 사용하는 viewer에서는 보이지 않아서..ㅠㅠ 그리고 핸드폰용량은 여유가 있는 편이라 그냥 jpg 로 저장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iPhone Heic 말고 jpg로 저장하기 (설정 - 카메라 - 포멧 순으로 들어가주세요)

고효율성이 heic로 저장하는 것이고 높은 호환성이 jpeg로 저장하는 것! 





그리고 이미 찍은 사진들을 변환하기 위해서 찾아보았는데 다음사이트에서 프로그램 설치 없이 변환하는 것을 제공한다. 

 https://heictojpg.com/


사진을 드레그하거나 클릭하고 heic 파일들을 선택해주면 된다. 

그리고 변환후에 아래 다운로드를 누르면 zip 파일로 여러파일을 동시에 다운받을 수 있게 해준다. 





사진 여러장 올려서 보니 동시에 변환도 가능하다. 




반응형
반응형

나라별로 아이패드 프로 3세대 가격이 어떨까 궁금해서 iPad Pro 가격 비교 조사를 해봤습니다. 



애플 공식홈패이지에 아이폰 원화 가격이 공식적으로 나와서..


세계 다른나라들과 비교해봤습니다.


환율은 2019 1/1 기준입니다. 홍콩, 일본, 미국이 괜찮아보이고 가장 싼 나라는 캐나다입니다. 

12.9 1TB기준 한국보다 무려..40~50 만원 차이가 납니다. 

참고하시고 혹시 여행갈 계획 있으시면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iPad Pro 11

iPad Pro 12.9

나라 64 G 256 G 512 G 1 T 64 G 256 G 512 G 1 T
한국 999,000 1,199,000 1,469,000 2,009,000 1,269,000 1,469,000 1,739,000 2,279,000
일본 89,800 106,800 128,800 172,800 111,800 128,800 150,800 194,800
10.16 912,368 1,085,088 1,308,608 1,755,648 1,135,888 1,308,608 1,532,128 1,979,168
중국 6,499 7,699 9,299 12,499 8,099 9,299 10,899 14,099
162.35 1,055,113 1,249,933 1,509,693 2,029,213 1,314,873 1,509,693 1,769,453 2,288,973
홍콩 6,399 7,499 9,099 12,299 7,999 9,099 10,699 13,899
142.5 911,858 1,068,608 1,296,608 1,752,608 1,139,858 1,296,608 1,524,608 1,980,608
싱가포르 1,199 1,419 1,719 2,319 1,499 1,719 2,019 2,619
819.65 982,760 1,163,083 1,408,978 1,900,768 1,228,655 1,408,978 1,654,873 2,146,663
대만 26,900 31,900 38,900 52,900 33,900 38,900 45,900 59,900
36.48 981,312 1,163,712 1,419,072 1,929,792 1,236,672 1,419,072 1,674,432 2,185,152
호주 1,229 1,449 1,749 2,349 1,529 1,749 2,049 2,649
787.73 968,120 1,141,421 1,377,740 1,850,378 1,204,439 1,377,740 1,614,059 2,086,697
영국 769 919 1,119 1,519 969 1,119 1,319 1,719
1428.7 1,098,670 1,312,975 1,598,715 2,170,195 1,384,410 1,598,715 1,884,455 2,455,935
독일 879 1,049 1,269 1,709 1,099 1,269 1,489 1,929
1278.38 1,123,696 1,341,021 1,622,264 2,184,751 1,404,940 1,622,264 1,903,508 2,465,995
프랑스 899 1,069 1,289 1,729 1,119 1,289 1,509 1,949
1278.38 1,149,264 1,366,588 1,647,832 2,210,319 1,430,507 1,647,832 1,929,075 2,491,563
터키 5899 6,999 8,499 11,499 7,399 8,499 9,999 12,999
211.12 1,245,397 1,477,629 1,794,309 2,427,669 1,562,077 1,794,309 2,110,989 2,744,349
미국 799 949 1,149 1,549 999 1,149 1,349 1,749
1116 891,684 1,059,084 1,282,284 1,728,684 1,114,884 1,282,284 1,505,484 1,951,884
캐나다 999 1,199 1,449 1,949 1,249 1,449 1,699 2,199
819.23 818,411 982,257 1,187,064 1,596,679 1,023,218 1,187,064 1,391,872 1,801,487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