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매수 x

매도 x

배당 KO $17.99

 

환율덕인가 원화기준 수익률은 7%를 넘었다. 

내 다음텀은 채권 가격 상승 배팅인데, 언제즘 ?!

 

반응형
반응형

 

매수 NU 10ea IAU 2ea KO 1ea JPM 1ea SCHD 1ea PG 1ea

배당 GILD $11.47 VNQ $10.47 IFRA $2.26 SCHD $14.7

 

봄이 오는가?

아직은 추측뿐이지만. 금리 낮아질때까지 기다리는 포트폴리오! 

 

 

구글 혼자 뭐하니..

반응형
반응형

매수 : AAPL1ea, IEF 1ea, PG 1ea, NU 20ea, SCHD 2ea

매도 : JPM 6ea, MS 3ea, PLTR 10ea,

배당 : $IEI 2.88, IEF $10.2

 

온통 SVB가 가득했던 한주였다. 사실 여지껏 판단해보기로는.. 그다지 큰 이슈는 안될거같다는 생각이 들지만 초반에 좀 쫄아서 금융주들 조금 익절하고 현금을 확보했다. 특히 대형은행들은 08년 위기이후 투자를 하는게 엄청 힘들어졌다. 그런데 이상하게 SVB는 장기채에 엄청 투자가 되어있던거같고 금리가 오르면서 작살난게 파산의 원인으로 보인다. 미국의 큰 은행들은 이런 이슈가 발생하기 아주 힘들것으로 보여서 금융의 시스템적 리스크는 없다고 보고있다. 다시 매수해야겠다..ㅋㅋ 뭔짓이지. 원래 은행이라면, 단기금융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쉽게 인출할수있잖아?) 단기채 위주의 투자가 되어야되는데 SVB는 왜 장기채를 크게 투자한건지.. 욕심쟁이? 암튼 이해가 되지는 않는다. 

 

그나저나 마소가 장난아니네~구글도 회복중이고. 

 

반응형
반응형

 

배당 : MSFT $13.87, JNK $8.67

 

금리가 오르니 한국은 부동산 관련 (PF, 집 가격) 등이 털리는데 미국은 주담대가 대부분 고정이다보니 우리나라와 조금 느낌이 다르다. 미국의 부동산은 오히려 고용에 연관이 많을것같다. 고용이 불안정하면, 자연스럽게 고정지출에 큰 부담을 느껴 매도할것이니깐.

 

그리고 미국은 바로 VC들이 크게 털린다. 한국도 마찬가지일수있지.. 금리가 높으면 상대적으로 Net Income이 적자일 확률이 높은 Venture들이 크게 고생을 할 확률이 높다. 기존 대출금에 대한 이자 부담과 더불어서.. 

이게 이제즘 터지는 느낌이네?

오히려 우량주들을 잡을 기회라고 느껴진다. 

 

아무리 끔찍한 폭락이라 해도 주가는 결국 회복 된다. 주가 하락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특별한 일도 아니다. 일상적인 일이다. - 피터린치 형님

반응형
반응형

 

 

배당 : SBUX $4.51

 

이번주는 초록색이 좀 많네.

구글 PER가 17인데, 더 싸질게 있나 싶을정도로 안오르네~

닷컴 버블은 돈도 못버는 회사들이 폭주하던걸로 알고있는데. 

지금 빅 tech들이 버블이냐? 에 대답은 No가 맞는거같다. 돈을 벌고있으니..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