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배당 : JPM $ 8.5, VZ $3.33

 

올초에 커피 가격을 인상시킨 스타벅스의 실적이 발표되었다. (EPS -> 실적 : 0.81 예상 : 0.72) 

 

주목해볼건, 미국에서의 매출 증가(11%!!!). 중국에서의 매출 감소. 아무래도 고강도 코로나 정책 때문이 아닐까 싶은데. 

합쳐서 결국 7%증가. 원래 가격 결정력이 있는 브랜드는 인플레이션의 경우 조금만 버티면 큰 손해를 안본다. 고점찍을때 가격 올려버린 클라스.. 저 가격 그대로 영향받을지는 모르겠지만 고점 대비 20%넘게 싼 가격으로 원두를 구입한다는건 엄청난 기회겠지. 영원할거같은 인플레이션이었지만, 피크아웃이 오는 종목들이 생기고있다. 다음은 금리일거라 믿고있다. 아직아니지만 ㅠ 

 

 

한개 걱정되는건 현금 보유가 감소하는건데, 아주아주 많은 변수들이 있지만 가장 큰건 자사주 구매였다.

딱 저만큼 빠지는거 같은데. 저게 지속적일지는 좀 물음표다. 

AAPL 등등 중국때문에 난리도아니다. 정상화되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매수 KO 1ea, AAPL 1ea, IFRA 1ea, MSFT 1ea, IEF 1ea 

매도

배당 IEF $7.64, IEI $2.44

 

달러기준으로 손실을 다 회복하고 제법 +인 상태가 되었다. 

월급받고 기계적으로 환전하고 조금씩 매수했다. 

 

이번주는 실적주간이었다. 

내가 개인적으로 risky하다 생각했던 Meta, AMZN은 하락폭이 컸다. 내가 좋아하는 MSFT도 제법 큰 하락을 맞았다.

그럼에도 AAPL이 모든 시장을 리드하는 형국으로 금요일이 마무리 되었다. 

MSFT하락은 예상하지 못한건 사실이다. 클라우드 성장..률(?) 하락으로 그렇게 후드려팰줄은 상상도 못했다. 실적 beat 해도 상관없나보다? 클라우드 산업의 주비용은 서버구축 (aka 디램구매). 최근 삼성의 치킨게임 선언으로 내년까지 나름 호재라고 판단하고 있어서 저가매수 기회라 생각하고 한주씩 사려고 한다. PER가 20대면 뭐 좋지! 

 

AAPL이 우리를 구원하는건가.. 

결국 애플을 선택하는 고객들은 가격은 큰 변수가 아니라는게 증명된거 같고, 그리고 죽어가는 PC시장에서 매출 성장이라니.. 감탄스러울수밖에 없다. 역시 M1인가. 다음 버전도 원화기준으론 가격동결을 하지않을까 싶은데, 겔럭시는 많이 힘들거같다. 그리고 이제 한국 시장은 아이폰 15호재주식을 찾을건데.. 어떤 부품사가 호재를 먹고 클까. 자화전자? 

 

다음의 peak out은 금리쪽에서 일어날거라 보고 계속 IEF매수중인데, 언제일려나.. 내년 초즘 와줬으면 좋겠다. 

그리고 몇년째 죽어있던 내 GILD가 날라간다. 정든 친구여서 팔지는 않을거같고, 호재가 어느정도인지 계산을 해보고 정해야겠다. 

 

반응형
반응형

 

매수 : SCHD 2ea

매도 :  VZ 3ea

배당 : IIPR $6.12

 

카톡사태로 .. 한주를 강제로 쉬었다. 

 

JPM은 배당 동결. SBUX는 0.49 -> 0.53으로 배당 증가

VZ 실적 발표가 있었는데, 실적 비트했다그래서 별 생각없었는데 떡락을 혼자 맞고있었다.. ㅋㅋ

wireless는 전쟁중인가보다. 누가 돈을벌고있으려나? 

일단 VZ는 정리하고 안전하게 SCHD로 가려고한다. (SCHD도 VZ가 있지만..ㅠ)

Cash는 빠지고 단기 debt는 늘고 경쟁도 치열하고 쉽지않아보인다. 실제로 후불아입자는 18만9천명 감소. 

(무선 설비회사는 기회?) 

그래도 용캐도 배당은 상향 0.64 -> 0.652

반응형
반응형

매수 : AAPL 1ea IEF 1ea KO 1ea SCHD 1ea

매도 : PG 1ea

배당 : KO $21.32, IFRA $4.16, JNK $9.69

 

 

발작하는중에는 탄탄한 주식만 추매하면서 기다리는것. 

KO배당때는 약속대로 한주를 더 샀다. ㅎㅎ

TSLA 부진이 눈에 띤다. 

 

 

반응형
반응형

 

매수 : SCHD 1ea

매도 : IIPR 1ea

배당 : GILD $11.17 VNQ $8.57 SCHD $1.62

 

고용이 나빠져야 주식시장이 좋아진다? 이런 논리가 나오고있다. 경기 안정에 있어서 고용과 더불어 안정적인 소비가 늘어야 경제가 성장하는게 맞을거 같은데. 요새 주식이 떨어지다보니 별 이상한 소리가 다 나오고있다. 쫄수밖에없는 지금 주식 시장이지만, 이럴때 매수를 조금씩 하면서 좋은 우량주의 지분을 늘려야겠다. 

 

환율을 보면 그 나라의 특징을 대충 알 수 있다. 지금같은 시점에 버티는 나라가 어디인지 찾아보면,

나중에 큰 도움이 되겠지. 역사는 반복되니깐? 

자원이 있는 나라는 버틴다. 

한국은 무엇을 가지고 있을까? 한국이 가진 무기를 사용할 즈음.. 그 전에 투자를 해놔야겠다. 반도체 재고가 늘고 수요가 위축된다는 뉴스를 보면.. 기대가 되는데? 

그리고 난 NU를 또 매수해야지. 

 

반응형
반응형

매도 : IAU 5ea, JNK1ea, VZ 3ea 

매수 : AAPL 1ea, MSFT 1ea, SCHD 1ea, NU 20ea, KO 1ea, IEF 1ea

배당 : IEI $2.29, IEF $7.14

 

원화기준으론 약 5% 수익중이지만, 내 포트도 간만에 달러기준 -10%를 맞아본다

제러미 시걸교수가 인터뷰한 내용을 봤는데, 지나치게 빠른 연준의 금리에 크게 화내시며 이야기하셨다. 인플레 우려가 낮아지는걸로 보이는데 왜 노동자와 중산층에게 부담을 강요하는지.. 작년에는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고 했다가 말을 바꾸고 급 매파로 변한 연준의 모습에 실망을 금치않을수 없으셨나보다. 기름도 천연가스도 고점찍고 하락하고있는데..

위기가 곧 기회가 아닐까? 

 

인생은 save가 없다. 그말인즉슨, 지금 순간에 미래를 예상하고 최선의 선택을 해야된다는 것.

어짜피 중산층을 위한 나라는 없다. 스스로 최선의 선택을 해서 자산을 모아야된다. 

 

50년 만에 S&P 수익률 최저치(상반기 기준)

4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인플레이션.

30년 만의 최고 금리 상승률.

 

그럼에도 IFC 애플스토어는 사람으로 가득차있고, 윈도우를 쓰는 회사는 계속 돌아가고있다. 유튜브는 매일매일 보고있고 콜라도 매일매일 마신다. MSFT는 10% 배당 인상을 발표했다. 

 

지금 시점은 현금 잘 찍는 회사들만 다시 모아야된다. 그리고 나는 국채를 모으기로했다. 몇달전만해도 내년즘 금리가 하락할겁니다 하던 사람들도 쏙 사라졌다. 그 어느누구도 금리 하락을 예상하지 못할때 사놓고 기다리는 소수가 되기로 결정했다. 내년즘 소소하게 보너스정도 벌기를. 

반응형

+ Recent posts